'광융합기술 종합발전' 첫 계획 확정…핵심기술 국산화 추진
입력
수정
'광융합 기술 지원법' 후속…2025년 점유율 15%·수출 400억 달러 목표
산업통상자원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반 기술인 광(光)융합기술 진흥을 위해 관계 부처 합동 '제1차 광융합기술 정책협의회'에서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광융합기술은 빛의 성질을 제어·활용하는 광기술과 타 분야 기술을 융합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제품 성능을 고도화하는 기술을 이른다.
자율주행차의 라이다(LiDAR),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마이크로 LED 등이 광융합기술의 예다.
이번 종합발전계획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광융합기술 지원법에 따른 첫 중장기 추진계획으로 ▲ 선도기술 확보 ▲ 산업 기반 강화 ▲ 수요시장 창출 ▲ 산업 생태계 활성화 ▲ 산업 지원체계 구축 등 5대 핵심과제를 담았다. 이를 통해 국내 광융합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2025년까지 현재 11%인 시장 점유율을 15%로, 수출은 249억 달러에서 400억 달러로, 기술 수준은 83%에서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정부는 우선 내년부터 광융합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장기 연구·개발(R&D) 계획을 세워 유망 신기술 전용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기술은 국산화를 하기 위한 R&D를 신속히 추진한다. 기존 시설 노후화와 지역적 편중으로 인해 기업들이 겪는 수요 대응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주요 거점에 차세대 광소자 제조 플랫폼을 만든다.
이를 위해 '광융합맞춤형 기술혁신사업'을 신설하기로 하고, 내년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기업들이 수입에 의존하는 마이크로 LED, 5G 통신용 광소자 등 차세대 광소자의 시생산부터 실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광소자팹'을 확충한다. 광소자팹을 중심으로 전국에 분산된 인프라를 연합 체제로 개편·운영할 계획이다.
광융합 국내 시장은 공공분야가 나서 초기 수요를 만들기로 했다.
광융합 기술 관련 부서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선도 사업을 발굴해서 우수 광융합 제품을 공공시설 등에 보급하는 것이다. 세계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제품 공동브랜드 대상 품목을 확대, 시험인증과 해외상표 등록까지 연계 지원할 예정이다.
유망 진출 국가를 대상으로 광융합 제품을 시범 설치하고 해외 마케팅 전담 인력을 늘리는 내용도 종합계획에 담겼다.
정부는 또한 광융합 전문기업 20개사를 육성하고, 예비 기능인력부터 석·박사 인력까지 산학 연계형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LED 조명 제품이 7종의 인증을 1회에 받는 원스톱 체계도 만들어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이밖에 광융합 산업 지원 체계를 만들기 위해 전담 기관은 한국광산업진흥회로, 전문연구소는 한국광기술원으로 지정했다.
광산업진흥회는 기업 지원 활동을, 광기술원은 광융합 기술 개발·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산업부는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광융합 기술과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으나 산업구조가 영세한 중소기업 위주고 해외 저가 제품으로 시장 경쟁 심화, 인증 제도 부담,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생태계가 부실한 상황"이라며 "미래 신산업 창출의 핵심 원동력인 광융합 기술 종합계획으로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반 기술인 광(光)융합기술 진흥을 위해 관계 부처 합동 '제1차 광융합기술 정책협의회'에서 '광융합기술 종합발전계획'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광융합기술은 빛의 성질을 제어·활용하는 광기술과 타 분야 기술을 융합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제품 성능을 고도화하는 기술을 이른다.
자율주행차의 라이다(LiDAR),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마이크로 LED 등이 광융합기술의 예다.
이번 종합발전계획은 지난해 9월부터 시행된 광융합기술 지원법에 따른 첫 중장기 추진계획으로 ▲ 선도기술 확보 ▲ 산업 기반 강화 ▲ 수요시장 창출 ▲ 산업 생태계 활성화 ▲ 산업 지원체계 구축 등 5대 핵심과제를 담았다. 이를 통해 국내 광융합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2025년까지 현재 11%인 시장 점유율을 15%로, 수출은 249억 달러에서 400억 달러로, 기술 수준은 83%에서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정부는 우선 내년부터 광융합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중장기 연구·개발(R&D) 계획을 세워 유망 신기술 전용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대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 기술은 국산화를 하기 위한 R&D를 신속히 추진한다. 기존 시설 노후화와 지역적 편중으로 인해 기업들이 겪는 수요 대응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 주요 거점에 차세대 광소자 제조 플랫폼을 만든다.
이를 위해 '광융합맞춤형 기술혁신사업'을 신설하기로 하고, 내년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기업들이 수입에 의존하는 마이크로 LED, 5G 통신용 광소자 등 차세대 광소자의 시생산부터 실증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광소자팹'을 확충한다. 광소자팹을 중심으로 전국에 분산된 인프라를 연합 체제로 개편·운영할 계획이다.
광융합 국내 시장은 공공분야가 나서 초기 수요를 만들기로 했다.
광융합 기술 관련 부서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선도 사업을 발굴해서 우수 광융합 제품을 공공시설 등에 보급하는 것이다. 세계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 제품 공동브랜드 대상 품목을 확대, 시험인증과 해외상표 등록까지 연계 지원할 예정이다.
유망 진출 국가를 대상으로 광융합 제품을 시범 설치하고 해외 마케팅 전담 인력을 늘리는 내용도 종합계획에 담겼다.
정부는 또한 광융합 전문기업 20개사를 육성하고, 예비 기능인력부터 석·박사 인력까지 산학 연계형 전문 인력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LED 조명 제품이 7종의 인증을 1회에 받는 원스톱 체계도 만들어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이밖에 광융합 산업 지원 체계를 만들기 위해 전담 기관은 한국광산업진흥회로, 전문연구소는 한국광기술원으로 지정했다.
광산업진흥회는 기업 지원 활동을, 광기술원은 광융합 기술 개발·사업화를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산업부는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광융합 기술과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으나 산업구조가 영세한 중소기업 위주고 해외 저가 제품으로 시장 경쟁 심화, 인증 제도 부담, 전문 인력 부족 등으로 생태계가 부실한 상황"이라며 "미래 신산업 창출의 핵심 원동력인 광융합 기술 종합계획으로 글로벌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