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中企에 판 깔아주니…지역 경제가 살아났다
입력
수정
지면A28
서울산업진흥원·한경닷컴 공동 주관대전 서구는 최근 2년간 37개 청년창업 기업을 배출했다. 청년창업지원센터와 함께 ‘청춘정거장’을 운영하며 시너지를 낸 게 비결로 꼽힌다. 청춘정거장은 청년들이 모여 서로 대화하고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청년활동공간이다. 지역적 특성을 십분 반영한 정책의 결과물이다. 서구는 대전 5개 자치구 중 청년층 인구가 가장 많다. 박소현 주무관은 “청년정책에 집중한 결과”라고 설명했다.전남 장성군은 은퇴 후를 고민하는 장년층 대상 귀농·귀촌 정책으로 성과를 거뒀다. 2010~2018년 모두 5500여 명이 장성으로 옮겨왔다. 전문팀을 꾸려 귀농·귀촌 수요가 있다면 어디든 달려가 상담하고, 이주 이후까지 관리해줘 효과를 냈다.광주 광산구는 기업지원 기능을 떼어내 별도 중간지원조직을 마련했다. ‘기업주치의센터’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일선 기업의 애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센터 설립 1년 만에 500건이 넘는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자금·창업·특허 87건과 60억원의 지원 사례를 만들어냈다.
'대한민국 상생발전 대상'
지역사회 상생과 성장에 기여
11개 지자체·45개 기업 수상
올해 처음 개최한 ‘2019 대한민국 상생발전 대상’을 받은 지방자치단체의 면면이다. 상생발전 대상은 서울산업진흥원(SBA)과 한경닷컴이 공동 주관하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서울시가 후원했다.
시혜성 위주의 기존 지자체 지원사업을 넘어설 가능성을 보였다는 평가다. 심사를 맡은 윤기석 충남대 국가정책연구소 교수는 “지역의 산업적·사회적·인구통계학적 배경을 반영한 지자체에 높은 점수를 줬다”며 “관 주도보다는 기업과 민간 참여가 활성화될 때 혁신역량이 배가된다”고 말했다.수상 지자체들의 청년사업은 좋은 사례다. 지자체들은 ‘판’을 깔아주는 데 힘 쏟았다. 청년들만의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군 단위 지자체들이 청년인구 유출을 고민하는 가운데 경북 의성군은 ‘박서생과 청년통신사’ ‘의성 청춘문화 북카페’ ‘청년괴짜방’ 같은 거점 교류공간을 만든 효과를 봤다. 부산 부산진구는 공유사무실 위워크 서면점에 청년창업가들을 위한 공간을 제공했다. 지원정책 ‘대상’으로만 통계에 잡히던 청년들이 활동 ‘주체’로 나서는 효과를 내고 있다.
지난 6일 서울 대치동 SETEC에서 열린 시상식에선 11개 지자체, 45개 기업이 수상했다. 진승호 국가균형발전위 기획단장은 “지역사회 상생 및 성장에 기여한 정책과 모범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상생발전 대상을 제정했다”며 “SBA는 지역과의 좋은 협업사례를 만들어 내고, 한경닷컴은 국가균형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시민 불편을 해소하는 솔루션을 제공한 기업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인테리어 시공에 대한 투명한 비교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닥’이 대표적이다. 전문가가 고객 대신 현장을 방문해 시공 단계별로 점검하고 각종 문제의 중재자 역할까지 맡는 ‘안심 집닥맨’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SBA 관계자는 “상생에 기여한 서울의 중소기업과 지역상생 의지가 높은 지자체를 발굴해 상호교류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며 “서울 중소기업과 지자체 및 지역기업 간 네트워크·융합·혁신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