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는 多産·풍요·영민함의 상징…부지런히 세상 누비는 '정보통'
입력
수정
지면A25
경자년(庚子年) 쥐띠 해다. 쥐는 십이지(十二支)의 첫 번째 동물로서, 정북(正北)을 가리키는 방위신이자 밤 11시~새벽 1시, 음력 11월을 의미하는 시간신이다.
쥐는 인간과 가까이 있지만 친하지 않은 동물이다. 유익하지도 않다. 곡식을 비롯한 음식을 훔쳐 먹고 날카로운 앞니로 기둥이며 가구를 쏠아 못쓰게 만든다. 생김새도 예쁘거나 귀엽다고 할 수 없다. 행동은 얄밉고 경박스러우며 병도 옮긴다. 이런 쥐가 띠 동물의 으뜸이 된 것은 옥황상제가 주최한 달리기 시합에서 부지런한 소의 잔등에 몰래 타고 있다가 결승선에서 폴짝 뛰어내려 1등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쥐는 지구상에 가장 널리 퍼진 동물이다. 약 3600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해 220속 1800여 종으로 분화할 만큼 번성했다. 검은쥐·흰쥐·노란쥐·집쥐·야생쥐·물쥐·시궁창쥐·다람쥐·박쥐·땅쥐 등 다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번식력이 엄청나서 한 쌍의 쥐가 1년 동안 불어나는 수가 2400마리나 된다고 한다.
이렇게 번식력이 강한 것은 쥐가 먹이를 찾아 빠르게, 부지런히 움직인 결과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우리 민속에서 쥐는 다산과 풍요, 영민함과 근면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졌다. 농경사회에서 다산과 풍요는 곧 농사의 풍년을 의미했다. 그래서 조선시대 세시풍속에는 새해 첫 쥐날(上子日)에는 임금이 태운 곡식을 쥐주머니(子囊·자낭)에 담아 신하들에게 나눠주며 풍년을 기원했다. 농가에서는 정월 14일 밤에 논둑, 밭둑을 태우면서 잡귀를 쫓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했는데, 이를 쥐불놀이라고 했다.쥐는 영리하고 부지런하며 저축성도 높다. 그래서 십이지신상의 하나로 능묘와 탑, 생활용품 등에 새겨졌고, 신사임당의 초충도에도 등장한다. 영화에서 지진이나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앙을 예고할 때 흔히 나오는 ‘쥐떼 장면’은 쥐의 예지력을 보여주는 사례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은 쥐의 ‘정보통’ 캐릭터를 대변한다. 쥐는 보기와 달리 배울 점이 많은 동물이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쥐는 인간과 가까이 있지만 친하지 않은 동물이다. 유익하지도 않다. 곡식을 비롯한 음식을 훔쳐 먹고 날카로운 앞니로 기둥이며 가구를 쏠아 못쓰게 만든다. 생김새도 예쁘거나 귀엽다고 할 수 없다. 행동은 얄밉고 경박스러우며 병도 옮긴다. 이런 쥐가 띠 동물의 으뜸이 된 것은 옥황상제가 주최한 달리기 시합에서 부지런한 소의 잔등에 몰래 타고 있다가 결승선에서 폴짝 뛰어내려 1등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쥐는 지구상에 가장 널리 퍼진 동물이다. 약 3600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해 220속 1800여 종으로 분화할 만큼 번성했다. 검은쥐·흰쥐·노란쥐·집쥐·야생쥐·물쥐·시궁창쥐·다람쥐·박쥐·땅쥐 등 다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번식력이 엄청나서 한 쌍의 쥐가 1년 동안 불어나는 수가 2400마리나 된다고 한다.
이렇게 번식력이 강한 것은 쥐가 먹이를 찾아 빠르게, 부지런히 움직인 결과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우리 민속에서 쥐는 다산과 풍요, 영민함과 근면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졌다. 농경사회에서 다산과 풍요는 곧 농사의 풍년을 의미했다. 그래서 조선시대 세시풍속에는 새해 첫 쥐날(上子日)에는 임금이 태운 곡식을 쥐주머니(子囊·자낭)에 담아 신하들에게 나눠주며 풍년을 기원했다. 농가에서는 정월 14일 밤에 논둑, 밭둑을 태우면서 잡귀를 쫓고 신성하게 봄을 맞이했는데, 이를 쥐불놀이라고 했다.쥐는 영리하고 부지런하며 저축성도 높다. 그래서 십이지신상의 하나로 능묘와 탑, 생활용품 등에 새겨졌고, 신사임당의 초충도에도 등장한다. 영화에서 지진이나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앙을 예고할 때 흔히 나오는 ‘쥐떼 장면’은 쥐의 예지력을 보여주는 사례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은 쥐의 ‘정보통’ 캐릭터를 대변한다. 쥐는 보기와 달리 배울 점이 많은 동물이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