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외교 '복원' 시동…담당과 11년 만에 다시 두 곳으로

2009년 하나로 축소…수요 증대·외교 다변화 고려 2개로 복구
유라시아과도 러시아·중앙아 담당과 2개로 확대
외교부가 11년 만에 아프리카 담당 과(課)를 2개로 다시 늘리면서 아프리카 외교 복원에 시동을 걸었다. 외교부는 본부 아프리카중동국 산하 아프리카과를 현재 1개에서 2개로 늘리기로 하고, 구체적인 조직개편 내용을 안전행정부와 협의 중이다.

2개 과를 남동·북서 지역별로 구분 짓고, 55개국이 속한 아프리카연합(AU) 등 다양한 역내 협력기구는 이중 한 곳에 맡기는 안이 현재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5일 "직제 개정 등 관련 절차를 마치고 나면 실제 가동은 올해 상반기 말쯤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외교부 아프리카과가 2곳으로 늘어나는 것은 11년 만이다.

외교부 아프리카 담당 조직은 국제정세 변화와 외교수요 등에 따라 확대와 축소를 거듭했다.

1975년 신설된 아중동국 아래 동부, 서부아프리카과가 설치됐고, 4년 뒤에는 5개 과를 거느린 아프리카국이 만들어졌다. 당시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표 대결'을 통해 북한을 이기는 것이 중요했던 만큼, 수가 많은 아프리카 신생국들은 한국 외교의 주요한 공략 대상이었다.

조직은 1981년 아프리카국 내 아프리카 1과, 2과로 정리됐고, 1994년 중앙아프리카국으로 재통합되는 가운데서도 2개 과를 유지했다.

1994년 서아시아아프리카국 아프리카과로 축소된 조직은 이듬해 아중동국 산하 북서·남동아프리카과 2개 과로 다시 커졌다가 2009년 아중동국 아프리카과로 축소된 이래 지금 형태를 유지했다. 외교부가 아프리카과를 11년 만에 다시 늘리기로 한 데는 '마지막 기회의 땅'으로 불리는 아프리카의 전략적 가치와 외교 수요가 갈수록 커짐에도, 한국 인프라가 다른 국가보다 열악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중국과 일본만 해도 외교부에 별도 아프리카국을 두고 있다.

직원 9명이 일하는 아프리카과 한 곳에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이른바 '블랙 아프리카' 48개국을 관장하는 한국과는 크게 차이 난다.

아프리카 조직 확대는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외교 다변화 전략과도 맞아떨어진다.

외교부는 또 유럽국에도 과 1개를 신설, 기존 유라시아과를 러시아 담당 조직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담당 조직으로 분할할 계획이다. 발리에 재외 공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