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개선 물건너가나"…美·이란 전운에 항공·해운업계 우려
입력
수정
항공사 영업비용의 25∼30%가 유류비…해운업계 보험료 폭등 가능성도
미국과 이란 간 전운이 짙어지는 가운데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내 항공업계와 해운업계가 긴장 모드로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연초부터 불거진 글로벌 악재에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를 접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7일 항공·해운업계 등에 따르면 작년 미중 무역 전쟁과 '보이콧 저팬' 등 대내외 악재에 적자를 면치 못한 항공업계는 새해부터 불거진 미국과 이란의 갈등 소식에 초긴장 상태다.유류비가 통상 항공사 영업비용의 25∼30%를 차지하는 만큼 유가 상승은 실적 개선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대한항공의 경우 작년 3분기 기준 영업비용 3조1천651억원 중 27%에 달하는 8천546억원이 연료 유류비였다.
대한항공의 연간 유류비 소모량은 약 3천300만 배럴에 달한다.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 경우 연간 3천300만 달러(한화 약 385억원)의 손해가 발생하는 셈이다.아시아나항공도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 경우 연간 영업이익이 약 46억원 감소한다고 밝혔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류할증료와 유류 헤지 등으로 유가 상승에 대비하고 있어 당장 유가 상승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사태가 장기화하거나 악화할 경우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동안 장기 침체를 겪은 만큼 올해 재도약을 꿈꾸던 해운업계 역시 중동 지역의 정세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현대상선의 경우 현재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중동 노선에 컨테이너선 8척, 유조선 3∼4척이 투입돼 있다.
당장 선박 운영을 중단할 상황은 아니지만 자칫 호르무즈 해협이 군사 충돌로 막힐 경우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호르무즈 해협은 중동 산유국이 원유를 수출하는 길목으로,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호르무즈 해협이 군사 충돌로 막히면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오르리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올 정도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상황까지 가지 않는다고 해도 작년 6월 이 해협에서 일본 선사가 피격당할 당시 일시적으로 이 구간을 지나는 선박의 보험료가 폭등한 것을 감안하면 상황에 따라 보험료 추가 부담 등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유가 상승과 선박의 운항 제재 등은 물론이고 전쟁 등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게는 2∼3배, 많게는 7∼8배까지 보험료가 크게 오를 수 있어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중동산 원유의 선적 물량과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우려를 불식하고 나섰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현재 국내에 도입 중인 이란산 원유가 없고 중동지역 석유·가스시설이나 유조선 등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며 "국제적으로 초과 생산 여력이 충분하다는 점은 국제유가에 미칠 파급효과를 제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앞서 미군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3일 이라크에서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을 드론(무장무인기) 공습으로 제거했다.
이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가혹한 보복"을 경고해 양국의 무력충돌 우려가 증폭됐다.
이런 가운데 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0.4%(0.22달러) 상승한 63.2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3월물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제재로 이미 원유 수출이 사실상 봉쇄된 상황이어서 국제 원유 수급에 미칠 영향은 거의 없다"면서도 "다만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이스라엘 공격과 같은 이란 측의 돌발 군사 행동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박 연구원은 "이런 사태가 현실화한다면 미국과 이란간 군사적 충돌과 이에 따른 유가 초급등 현상으로 글로벌 경제가 침체 공포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미국과 이란 간 전운이 짙어지는 가운데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내 항공업계와 해운업계가 긴장 모드로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연초부터 불거진 글로벌 악재에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를 접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7일 항공·해운업계 등에 따르면 작년 미중 무역 전쟁과 '보이콧 저팬' 등 대내외 악재에 적자를 면치 못한 항공업계는 새해부터 불거진 미국과 이란의 갈등 소식에 초긴장 상태다.유류비가 통상 항공사 영업비용의 25∼30%를 차지하는 만큼 유가 상승은 실적 개선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대한항공의 경우 작년 3분기 기준 영업비용 3조1천651억원 중 27%에 달하는 8천546억원이 연료 유류비였다.
대한항공의 연간 유류비 소모량은 약 3천300만 배럴에 달한다.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 경우 연간 3천300만 달러(한화 약 385억원)의 손해가 발생하는 셈이다.아시아나항공도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를 경우 연간 영업이익이 약 46억원 감소한다고 밝혔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류할증료와 유류 헤지 등으로 유가 상승에 대비하고 있어 당장 유가 상승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사태가 장기화하거나 악화할 경우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동안 장기 침체를 겪은 만큼 올해 재도약을 꿈꾸던 해운업계 역시 중동 지역의 정세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현대상선의 경우 현재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중동 노선에 컨테이너선 8척, 유조선 3∼4척이 투입돼 있다.
당장 선박 운영을 중단할 상황은 아니지만 자칫 호르무즈 해협이 군사 충돌로 막힐 경우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호르무즈 해협은 중동 산유국이 원유를 수출하는 길목으로,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호르무즈 해협이 군사 충돌로 막히면 유가가 배럴당 200달러까지 오르리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올 정도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상황까지 가지 않는다고 해도 작년 6월 이 해협에서 일본 선사가 피격당할 당시 일시적으로 이 구간을 지나는 선박의 보험료가 폭등한 것을 감안하면 상황에 따라 보험료 추가 부담 등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유가 상승과 선박의 운항 제재 등은 물론이고 전쟁 등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적게는 2∼3배, 많게는 7∼8배까지 보험료가 크게 오를 수 있어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단 중동산 원유의 선적 물량과 일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우려를 불식하고 나섰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확대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현재 국내에 도입 중인 이란산 원유가 없고 중동지역 석유·가스시설이나 유조선 등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 발생한 것은 아니다"며 "국제적으로 초과 생산 여력이 충분하다는 점은 국제유가에 미칠 파급효과를 제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앞서 미군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3일 이라크에서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이란혁명수비대 정예군) 사령관을 드론(무장무인기) 공습으로 제거했다.
이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가혹한 보복"을 경고해 양국의 무력충돌 우려가 증폭됐다.
이런 가운데 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0.4%(0.22달러) 상승한 63.2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3월물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제재로 이미 원유 수출이 사실상 봉쇄된 상황이어서 국제 원유 수급에 미칠 영향은 거의 없다"면서도 "다만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와 이스라엘 공격과 같은 이란 측의 돌발 군사 행동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박 연구원은 "이런 사태가 현실화한다면 미국과 이란간 군사적 충돌과 이에 따른 유가 초급등 현상으로 글로벌 경제가 침체 공포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