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현장 35곳 '초긴장'…추가 수주도 비상
입력
수정
지면A27
한국업체, 美·이란 충돌 '불똥'8일 이란이 미국의 이라크 아인 아사드 공군기지를 공습하면서 국내 건설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란과 미국의 군사 충돌로 가뜩이나 줄어들고 있는 중동 수주 실적이 더 악화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이라크 현지에 나간 건설사들은 비상대책반을 운영하며 충돌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현대·한화 등 14개사 '공사중'
대책반 운영 등 비상체제 가동
해외건설 수주 갈수록 주는데
'텃밭' 중동 진출 악영향 우려
“공습 피해는 없어”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라크에는 현대건설 한화건설 등 14개 건설사가 35개 현장에서 공사를 하고 있다.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해 1381명이 이라크에 나가 있다. 현대건설과 GS건설 SK건설 등이 공동으로 시공하는 카르발라 정유공장 현장에는 660여 명이 일하고 있다. 한화건설 직원 400여 명은 비스마야신도시 건설 현장을 지키고 있다. 비스마야신도시 프로젝트는 10만여 가구 주택과 도로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계약 금액만 101억달러에 달한다.
대우건설은 이라크 남부 바스라주에서 알 포 신항만 공사를 하고 있다. 직원 73명이 컨테이너터미널 1단계 공사, 방파제, 접속도로, 침매터널 제작장 공사 등 프로젝트 4개를 맡고 있다. 계약금액은 4억6000만달러 규모다.포스코건설도 이라크에서 도시재건사업, 카밧 화력발전소 공사를 하고 있다. 폭격 지점과 450㎞ 떨어져 있어 큰 피해는 없는 상황이다. 카밧 공사 현장에 있는 한국인 직원은 31명이다.
이들 건설현장은 공습 지점과 떨어져 있어 공습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사들은 중단 없이 공사를 하고 있다. 각 건설사들은 추가 공습에 대비해 비상대책반을 꾸려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현장이 공습 지역과 약 210㎞ 떨어져 있어 피해는 없었다”며 “임직원의 이라크 입국을 중단했고, 외부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도 “사내 비상대책반을 통해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국내 건설업체가 이란에서 공사 중인 현장은 없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재개되면서 대부분 공사계약을 해지했다. 2017년 현대엔지니어링과 현대건설이 수주한 3조8000억원 규모 사우스파12 2단계 확장공사, 대림산업이 따낸 2조2000억원 규모 이스파한오일정유회사(EORC)의 이스파한 정유공장 개선 공사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이란지사에 직원 1명을 파견했었다”며 “이 직원은 지난겨울 귀국한 뒤 미국과 이란 관계가 악화하면서 현지로 다시 나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정부도 현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국토부는 외교부와 함께 이란과 이라크 등지에 비상연락망을 구축해 상시 모니터링 중이다. 외교부는 지난 7일 이라크 주재 한국 기업 17곳과 안전간담회를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재외국민을 보호한다는 목표 아래 매뉴얼에 따라 비상연락망 구축 등 상황에 맞는 조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갈수록 주는데”…해외 수주 ‘비상’
건설업계는 이번 사태로 해외 건설 수주 실적이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18년 중동 건설 수주액은 92억달러로, 2017년(146억달러) 대비 50억달러가량 급감했다. 전체 해외 수주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50.3%에서 28.7%로 줄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 건설 수주액은 210억달러 수준으로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중동은 한국 건설업체들의 텃밭”이라며 “미국과 이란 간 군사 갈등이 장기화되면 해외 건설 수주에 악영향을 미치는 건 불 보듯 뻔하다”고 말했다.
전면전으로 치달을 경우 이라크뿐 아니라 쿠웨이트 등 다른 중동지역 수주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쿠웨이트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 현대건설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알주르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터미널 공사를 수행 중이다. 공사비 29억3000만달러 규모로 올해 준공을 앞두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미국과 이란이 전쟁까지 가면 인근 국가 공사 현장의 자재 조달, 공사 발주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며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등 인근 지역 수주가 어려워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