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폰, 한국에 '일본 규제품목' 포토레지스트 생산시설 만든다
입력
수정
천안공장에 2천800만달러 투자 확정…"기술 확보·공급선 다변화"
글로벌 화학소재기업인 듀폰이 한국에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 생산시설을 구축한다.포토레지스트는 일본의 수출규제 3개 품목 중 하나로 듀폰의 한국 투자는 해당 소재의 공급선을 다변화해 일본 의존도를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8일(현지시간) 듀폰 존 켐프 사장과 별도 면담을 했다.
이 자리에서 듀폰은 EUV 포토레지스트 개발·생산시설을 한국에 짓기로 확정하고 코트라(KOTRA)에 2천800만달러 규모의 투자 신고서를 제출했다.투자 지역은 이미 듀폰의 생산공장이 있는 충남 천안이고 투자 예상 기간은 2020∼2021년이다.이번 투자는 듀폰과 한국 정부의 필요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듀폰은 한국 내 자회사인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를 통해 1998년부터 천안에 있는 2개 공장에서 반도체 회로기판용 소재·부품을 생산해왔다.듀폰은 반도체 극소형화에 필요한 차세대 제품·기술 개발과 공급 다변화 요구에 부응하고 EUV용 포토레지스트 등 점차 성장하는 시장에 선제 대응하고자 한국 투자를 결정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7월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공급 안정화를 위해 듀폰과 직접 접촉해 투자 유치를 협의해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코트라와 원팀(One Team)으로 듀폰과 투자 협상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한국이 경쟁국을 제치고 최종 투자처로 선정됐다.EUV용 포토레지스트는 현재 주로 일본산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미국, 유럽연합(EU) 기업으로 해당 품목의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국내 기업과의 상생협력이나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기여할 전망이다.일본은 지난해 7월 포토레지스트와 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단행했다.
웨이퍼(기판) 위에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성 재료인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지난해 1∼5월 한국의 전체 수입액의 90% 이상이 일본산이었다.
다만 일본은 3개 규제 품목 중 포토레지스트의 대(對)한국 개별수출허가를 가장 먼저 내줬고, 지난달 20일에는 포토레지스트의 수출허가 방식을 개별허가에서 특정포괄허가로 완화했다.
한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하는 것은 자국 기업에도 타격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켐프 사장은 투자신고서를 제출하는 자리에서 "EUV용 포토레지스트 개발·생산을 위해 앞으로 한국 내 주요 수요 업체와 제품 실증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성 장관은 "최근 일본 정부가 EUV용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특정포괄허가를 허용하는 등 일본 수출규제 조치를 해결하는 데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정부는 핵심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와 공급선 다변화를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9일에는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국 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 라운드테이블을 주재했다.
행사에는 반도체, 자동차, 수소경제, 재생에너지, 정보기술(IT), 벤처캐피탈 분야의 기업 10개사가 참여했다.
성 장관은 한국의 투자 매력요인으로 ▲ 5년 연속 외국인투자 200억달러를 달성한 안정적 투자환경 ▲ 신산업 육성을 뒷받침하는 혁신역량 ▲ 글로벌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 등을 꼽았다.
이어 한국과 협력이 유망한 투자 분야로 수소경제, 반도체, 스타트업을 제안했다.
참석 기업들은 한국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핵심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한 수소차 관련 소재 기업은 국내 수요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고려해 한국에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투자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라며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성 장관은 한국 정부는 외국인투자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답했다.
산업부는 미국 투자유치 활동을 시작으로 주요 투자국을 대상으로 전략적 설명회(IR)를 진행하고 주한 외국기업, 협회·단체, 지자체 등과 소통하면서 외국 기업의 국내 투자를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그중에서도 소재·부품·장비, 신산업 분야 유망기업에는 선제로 투자 인센티브를 제안해 협상을 거쳐 투자가 결정되면 정부·해당 지자체·관련 기관 등이 합동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투자 애로 해소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외국인투자기업의 미처분 이익잉여금을 외국인직접투자로 인정하는 제도 개정, 소재·부품·장비 분야 현금지원 확대 등 외국인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노력도 계속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글로벌 화학소재기업인 듀폰이 한국에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 생산시설을 구축한다.포토레지스트는 일본의 수출규제 3개 품목 중 하나로 듀폰의 한국 투자는 해당 소재의 공급선을 다변화해 일본 의존도를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8일(현지시간) 듀폰 존 켐프 사장과 별도 면담을 했다.
이 자리에서 듀폰은 EUV 포토레지스트 개발·생산시설을 한국에 짓기로 확정하고 코트라(KOTRA)에 2천800만달러 규모의 투자 신고서를 제출했다.투자 지역은 이미 듀폰의 생산공장이 있는 충남 천안이고 투자 예상 기간은 2020∼2021년이다.이번 투자는 듀폰과 한국 정부의 필요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듀폰은 한국 내 자회사인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를 통해 1998년부터 천안에 있는 2개 공장에서 반도체 회로기판용 소재·부품을 생산해왔다.듀폰은 반도체 극소형화에 필요한 차세대 제품·기술 개발과 공급 다변화 요구에 부응하고 EUV용 포토레지스트 등 점차 성장하는 시장에 선제 대응하고자 한국 투자를 결정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7월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공급 안정화를 위해 듀폰과 직접 접촉해 투자 유치를 협의해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코트라와 원팀(One Team)으로 듀폰과 투자 협상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 한국이 경쟁국을 제치고 최종 투자처로 선정됐다.EUV용 포토레지스트는 현재 주로 일본산 수입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미국, 유럽연합(EU) 기업으로 해당 품목의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국내 기업과의 상생협력이나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데도 기여할 전망이다.일본은 지난해 7월 포토레지스트와 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단행했다.
웨이퍼(기판) 위에 패턴을 형성하는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에서 사용되는 감광성 재료인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지난해 1∼5월 한국의 전체 수입액의 90% 이상이 일본산이었다.
다만 일본은 3개 규제 품목 중 포토레지스트의 대(對)한국 개별수출허가를 가장 먼저 내줬고, 지난달 20일에는 포토레지스트의 수출허가 방식을 개별허가에서 특정포괄허가로 완화했다.
한국으로의 수출을 규제하는 것은 자국 기업에도 타격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켐프 사장은 투자신고서를 제출하는 자리에서 "EUV용 포토레지스트 개발·생산을 위해 앞으로 한국 내 주요 수요 업체와 제품 실증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성 장관은 "최근 일본 정부가 EUV용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특정포괄허가를 허용하는 등 일본 수출규제 조치를 해결하는 데 일부 진전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정부는 핵심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기술경쟁력 확보와 공급선 다변화를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 장관은 9일에는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국 투자가들을 대상으로 한 라운드테이블을 주재했다.
행사에는 반도체, 자동차, 수소경제, 재생에너지, 정보기술(IT), 벤처캐피탈 분야의 기업 10개사가 참여했다.
성 장관은 한국의 투자 매력요인으로 ▲ 5년 연속 외국인투자 200억달러를 달성한 안정적 투자환경 ▲ 신산업 육성을 뒷받침하는 혁신역량 ▲ 글로벌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 등을 꼽았다.
이어 한국과 협력이 유망한 투자 분야로 수소경제, 반도체, 스타트업을 제안했다.
참석 기업들은 한국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핵심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한 수소차 관련 소재 기업은 국내 수요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고려해 한국에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투자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계획이라며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성 장관은 한국 정부는 외국인투자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답했다.
산업부는 미국 투자유치 활동을 시작으로 주요 투자국을 대상으로 전략적 설명회(IR)를 진행하고 주한 외국기업, 협회·단체, 지자체 등과 소통하면서 외국 기업의 국내 투자를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그중에서도 소재·부품·장비, 신산업 분야 유망기업에는 선제로 투자 인센티브를 제안해 협상을 거쳐 투자가 결정되면 정부·해당 지자체·관련 기관 등이 합동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투자 애로 해소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외국인투자기업의 미처분 이익잉여금을 외국인직접투자로 인정하는 제도 개정, 소재·부품·장비 분야 현금지원 확대 등 외국인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노력도 계속하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