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인구 5185만명 '제자리걸음'…고령화 가속
입력
수정
0.05% 늘어 역대 최저 증가율…평균연령 42.6세
65세 이상 고령층이 유소년보다 150만명 많아2019년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약 5천185만명으로 집계됐다.관련 통계 발표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이며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평균연령은 42.6세로 상승 추세를 이었다.
14세 이하 유소년층과 15∼65세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65세 이상 고령층은 증가해 고령층 인구가 유소년층보다 156만명 많았다.12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주민등록 인구는 5천184만9천861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말보다는 0.05%(2만3천802명) 늘어난 데에 그쳤다.
주민등록인구는 출생·사망 등 자연적 요인이나 국적취득·상실, 재등록·말소 등에 따라 변하는데 지난해에는 인구수에 거의 변동이 없었다.지난해 주민등록인구 증가율과 증가 인원 모두 정부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저치에 해당한다.
주민등록인구 증가율은 2009년 0.47%(증가인원 23만2천778명)에서 2010년 1.49%(74만2천521명)로 올랐다가 이후 계속 하락 추세다.
2018년에 0.09%(4만7천515명)로 처음으로 0.1% 이하로 떨어졌는데 이번에 다시 역대 최저 증가율 기록을 갈아치웠다.평균연령은 42.6세로 2008년 이 통계 공표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
주민등록인구 평균연령은 2008년 37.0세에서 꾸준히 높아져 2014년(40.0세) 처음 40세를 돌파했고 2018년(42.1세) 42세를 넘었다.연령대별로 보면 40대 이하는 모두 인구가 감소했고 50대 이상은 증가했다.
이 가운데 0∼9세는 전체 주민등록인구 중 8%(416만6천914명)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작았다.
전체 인구의 16.7%로 가장 비중이 큰 50∼59세(866만7천377명)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연령계층별로는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가 전년도보다 19만967명 감소했고 0∼14세 유소년인구는 16만1천738명이 줄었다.
이에 비해 고령인구인 65세 이상은 37만6천507명 증가하며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802만6천915명)와 유소년인구(646만6천872명)의 격차는 156만명으로 벌어졌다.
연령계층별 비중은 15∼64세 72.0%, 65세 이상 15.5%, 0∼14세 12.5% 순이었다.
유소년과 생산가능 인구 비중은 2008년 이후 가장 낮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가장 높다.
지역별로는 시·도 중에서 서울, 부산, 대구, 전북, 대전, 전남 등 12곳의 인구가 감소했다.
이에 비해 경기, 세종, 제주, 인천, 충북 등 5곳은 인구가 늘었다.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 부천, 인천 부평, 경기 성남 등 163개 곳에서 인구가 줄고 경기 화성, 시흥, 용인 등 63곳은 증가했다.
지역별 평균연령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시·도는 세종(36.9세), 광주·경기(40.8세), 울산(40.9세), 대전(41.3세) 등 7곳이었다.
전남(46.2세), 경북(45.6세), 강원(45.3세), 전북(44.9세), 부산(44.5세) 등 10개 시·도는 지역 평균연령이 전체평균을 웃돌았다.자세한 통계 현황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www.mois.go.kr) '정책자료' 코너에 있는 '통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연합뉴스
65세 이상 고령층이 유소년보다 150만명 많아2019년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가 약 5천185만명으로 집계됐다.관련 통계 발표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이며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했다.
평균연령은 42.6세로 상승 추세를 이었다.
14세 이하 유소년층과 15∼65세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65세 이상 고령층은 증가해 고령층 인구가 유소년층보다 156만명 많았다.12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작년 말 주민등록 인구는 5천184만9천861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말보다는 0.05%(2만3천802명) 늘어난 데에 그쳤다.
주민등록인구는 출생·사망 등 자연적 요인이나 국적취득·상실, 재등록·말소 등에 따라 변하는데 지난해에는 인구수에 거의 변동이 없었다.지난해 주민등록인구 증가율과 증가 인원 모두 정부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저치에 해당한다.
주민등록인구 증가율은 2009년 0.47%(증가인원 23만2천778명)에서 2010년 1.49%(74만2천521명)로 올랐다가 이후 계속 하락 추세다.
2018년에 0.09%(4만7천515명)로 처음으로 0.1% 이하로 떨어졌는데 이번에 다시 역대 최저 증가율 기록을 갈아치웠다.평균연령은 42.6세로 2008년 이 통계 공표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
주민등록인구 평균연령은 2008년 37.0세에서 꾸준히 높아져 2014년(40.0세) 처음 40세를 돌파했고 2018년(42.1세) 42세를 넘었다.연령대별로 보면 40대 이하는 모두 인구가 감소했고 50대 이상은 증가했다.
이 가운데 0∼9세는 전체 주민등록인구 중 8%(416만6천914명)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작았다.
전체 인구의 16.7%로 가장 비중이 큰 50∼59세(866만7천377명)와 비교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
연령계층별로는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가 전년도보다 19만967명 감소했고 0∼14세 유소년인구는 16만1천738명이 줄었다.
이에 비해 고령인구인 65세 이상은 37만6천507명 증가하며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802만6천915명)와 유소년인구(646만6천872명)의 격차는 156만명으로 벌어졌다.
연령계층별 비중은 15∼64세 72.0%, 65세 이상 15.5%, 0∼14세 12.5% 순이었다.
유소년과 생산가능 인구 비중은 2008년 이후 가장 낮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가장 높다.
지역별로는 시·도 중에서 서울, 부산, 대구, 전북, 대전, 전남 등 12곳의 인구가 감소했다.
이에 비해 경기, 세종, 제주, 인천, 충북 등 5곳은 인구가 늘었다.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 부천, 인천 부평, 경기 성남 등 163개 곳에서 인구가 줄고 경기 화성, 시흥, 용인 등 63곳은 증가했다.
지역별 평균연령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시·도는 세종(36.9세), 광주·경기(40.8세), 울산(40.9세), 대전(41.3세) 등 7곳이었다.
전남(46.2세), 경북(45.6세), 강원(45.3세), 전북(44.9세), 부산(44.5세) 등 10개 시·도는 지역 평균연령이 전체평균을 웃돌았다.자세한 통계 현황은 행정안전부 홈페이지(www.mois.go.kr) '정책자료' 코너에 있는 '통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