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삼성서울병원과 ‘5G 스마트 혁신병원’ 만든다
입력
수정
실시간 수술영상 전송하고 다른 공간서 협진병원 수술실에서 위암 환자의 복강경 수술이 한창이다. 같은 시각, 걸어서 약 1㎞ 거리에 있는 한 건물에서는 수술 장면을 실시간으로 본다. 현장에 있지 않아도 생생하게 수술 과정을 볼 수 있다. 5세대(5G) 이동통신망으로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KT와 삼성서울병원은 5G 기반의 의료 서비스를 공동 개발했다고 14일 발표했다. 양사가 지난 9월 업무협약(MOU)를 맺은 뒤 공동 추진한 ‘5G 스마트 혁신 병원’ 구축의 일환이다.
양사가 개발한 서비스는 5G 수술 지도와 5G 디지털 병리 진단, 5G 양성자 치료정보 조회, 병실 내 AI 기반 스마트 케어 기버 구축, 수술실 내 자율주행 로봇 등 다섯 가지다. 지난해 11월부터 이 서비스를 실제 수술과 진단에 활용하고 있다.

한 장에 4기가바이트(GB)가 넘는 병리 데이터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본관과 별관, 암병원, 교수 사무실 등으로 구성돼 있어 멀게는 1㎞ 떨어져 있다. 지금까지는 협진을 위해서 의료진은 한 곳에 모여야 했다. 삼성서울병원 정보전략실장은 “5G를 활용하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협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병실에서는 AI기반의 ‘스마트 케어기버’로 음성만으로 침대 조명 등을 조작할 수 있다. 환자의 몸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해 오염된 물품을 운반해 감염 위험 등도 줄인다.

KT와 삼성서울병원은 앞으로 더 많은 5G 기반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일원캠퍼스를 벗어난 삼성병원 캠퍼스 간 협진이 가능하도록 개발 협력을 지속한다. 수술 교육에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접목하고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솔루션 등도 개발한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