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AI 창업 천국' 이스라엘
입력
수정
지면A35
이스라엘은 인구 860만 명의 소국이지만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서는 세계적인 강국이다. 이곳 스타트업들이 AI 응용기술을 개발하면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사간다. 2017년 인텔은 AI 기반 자율주행차 업체인 모빌아이를 153억달러(약 17조원)에 사들였다. 최근에도 AI 반도체 스타트업 하바나 랩스를 20억달러(약 2조3460억원)에 인수했다.
글로벌 기업들의 인수전이 가열되면서 지난해 이스라엘 AI 스타트업계에 유입된 자금은 99억달러(약 11조5000억원)에 달했다. 진행 중인 인수합병까지 합하면 229억달러(약 26조6500억원)에 이른다. 패스트푸드업체 맥도날드와 유통업체 월마트까지 이스라엘 AI 스타트업 인수에 열을 올리고 있다.최근 열린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20’에서도 이스라엘 AI 스타트업들이 각광을 받았다. 신생 기업 비지고는 모기의 동선을 추적해 레이저로 위치를 알려주는 기기를 선보였다. AI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현대자동차의 투자를 유치한 알레그로닷에이아이도 눈길을 끌었다.
이스라엘이 ‘AI 스타트업 천국’으로 성장한 비결은 뭘까. 창업 5년 만에 세계 최대 내비게이션 앱이 된 웨이즈의 공동창업자 유리 레빈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 정신과 국가적 창업 생태계 지원이 가장 큰 비결”이라고 말한다. 젊은이들이 군에서 창업 아이디어와 기술을 익힌 뒤 제대해 이를 실행에 옮기면 정부가 민·관 협력 체제의 ‘요즈마 펀드’ 등으로 돕는다. 다양한 투자 유인책과 세제 혜택까지 곁들인다.
우리에게도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CES 2020’을 참관한 신성철 KAIST 총장은 “정보통신기술 인프라와 제조업이 강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게 우리의 장점”이라며 “AI 인재 양성과 교육 개혁, 산·학·관 협업, 속도감 있는 규제 개혁이 이뤄지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문제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AI를 실생활과 산업에 접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누가 먼저, 더 많이 개발하느냐에 따라 ‘AI 전쟁’의 승부가 갈린다. ‘창업 천국’ 이스라엘에서는 지금도 글로벌 스타트업이 쏟아지는데, 한국은 ‘규제 지옥’에 갇혀 있다. 그 사이에 젊은이들은 “늘어나는 공무원 수만큼 규제만 는다”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글로벌 기업들의 인수전이 가열되면서 지난해 이스라엘 AI 스타트업계에 유입된 자금은 99억달러(약 11조5000억원)에 달했다. 진행 중인 인수합병까지 합하면 229억달러(약 26조6500억원)에 이른다. 패스트푸드업체 맥도날드와 유통업체 월마트까지 이스라엘 AI 스타트업 인수에 열을 올리고 있다.최근 열린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20’에서도 이스라엘 AI 스타트업들이 각광을 받았다. 신생 기업 비지고는 모기의 동선을 추적해 레이저로 위치를 알려주는 기기를 선보였다. AI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으로 현대자동차의 투자를 유치한 알레그로닷에이아이도 눈길을 끌었다.
이스라엘이 ‘AI 스타트업 천국’으로 성장한 비결은 뭘까. 창업 5년 만에 세계 최대 내비게이션 앱이 된 웨이즈의 공동창업자 유리 레빈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가 정신과 국가적 창업 생태계 지원이 가장 큰 비결”이라고 말한다. 젊은이들이 군에서 창업 아이디어와 기술을 익힌 뒤 제대해 이를 실행에 옮기면 정부가 민·관 협력 체제의 ‘요즈마 펀드’ 등으로 돕는다. 다양한 투자 유인책과 세제 혜택까지 곁들인다.
우리에게도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CES 2020’을 참관한 신성철 KAIST 총장은 “정보통신기술 인프라와 제조업이 강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은 게 우리의 장점”이라며 “AI 인재 양성과 교육 개혁, 산·학·관 협업, 속도감 있는 규제 개혁이 이뤄지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문제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AI를 실생활과 산업에 접목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누가 먼저, 더 많이 개발하느냐에 따라 ‘AI 전쟁’의 승부가 갈린다. ‘창업 천국’ 이스라엘에서는 지금도 글로벌 스타트업이 쏟아지는데, 한국은 ‘규제 지옥’에 갇혀 있다. 그 사이에 젊은이들은 “늘어나는 공무원 수만큼 규제만 는다”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