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만 쫓다 리스크 관리 `뒷전` [투자자 신뢰 추락한 신한금융투자]①


초대형IB를 목전에 둔 신한금융투자가 역대급 금융 스캔들에 휘말렸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만 세 건, 금액으로만 조단위가 넘습니다.무리한 투자에 나선 것이 결국 화를 자초했다는 비판입니다.

먼저 방서후 기자입니다.

문제가 처음 불거진 것은 지난해 7월 독일 헤리티지 파생결합증권(DLS)의 이자 지급이 미뤄지면서부터입니다.

독일 시행사 돌핀트러스트가 문화재(기념물보존등재건물)를 매입한 뒤 고급 주거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에서 국내 증권사들은 시행사의 사업비 조달을 위한 대출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를 만들거나 판매했는데, 신한금융투자는 판매사 중 가장 많은 금액인 3,600억원 어치를 팔았습니다.

하지만 시행사는 사업 진행을 위한 인허가 신청도 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에게 원금과 이자를 주지 못한 채 만기가 연장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매각을 통한 원금 보전도 불투명해졌습니다.신한금융투자가 판매한 브라질 라탐호스피탈리티 펀드 연계 DLS 역시 지난해 11월 이자 지급 유예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조단위 투자금을 돌려주지 못해 논란을 빚고 있는 라임자산운용 사태에도 연루됐습니다.

증권 사기 혐의로 등록 취소와 자산 동결 처분을 받은 미국 헤지펀드에 라임자산운용이 투자했고, 신한금융투자는 펀드 설정액의 절반 이상을 대출해줬을 뿐 아니라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도 했습니다.상품 기획도 하고 판매도 하면서 수수료를 이중 삼중으로 챙긴 건데, 이 과정에서 신한금융투자가 부실을 미리 알았을 거라 판단한 금융감독원은 검찰 수사 의뢰를 검토 중입니다. 이와 별개로 투자자들의 줄소송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왜 신한금융투자에서만 이런 일이 연달아 발생했을까.

업계에서는 논란이 된 상품들이 다른 신한금융 계열사와도 관련된 복합점포에서 주로 팔려나갔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은행 수익에 영향을 주는 순이자 마진이 정체되고 대출 관련 규제가 심화되자 비이자 이익의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이 때문에 국내 대형 금융지주는 비은행 부문과 금융상품 판매에 주력, 수익성 악화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한의 경우 계열사에 수익을 중심으로 목표를 부여하는 지주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이자 이익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2017년 이후 거머쥔 리딩뱅크 왕좌도 계속 지켜낼 것으로 관측됩니다.

하지만 모든 조직이 지나치게 성과를 �아 움직이다 보니 리스크 관리는 뒷전이 됐습니다.

내실이 다져지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에만 목 메다 터질 게 터졌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입니다.

한국경제TV 방서후입니다.
방서후기자 shbang@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티몬, 초소형 전기차 `다니고` 100대 선착순 판매 개시

ㆍ강성훈 박소현, 카메라 꺼진 줄 모르고 포옹하다…`들통?`

ㆍ개리 아내, `아무도 몰랐다`…10살 연하 리쌍컴퍼니 직원?

ㆍ손예진 나이?…"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ㆍ낸시랭 “올해 한국 떠날 것, 다른 나라서 인생 2막”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