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한의 리스크관리 ABC] 상황에 맞는 리스크관리 수단 택해야
입력
수정
지면A33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07.20558242.1.jpg)
“그런 바보 같은 사업의 위험을 인수하겠다는 보험회사가 없었습니다. 설사 있다 하더라도 보험료가 실로 엄청날 테니 우리가 그걸 감당할 입장도 아니어서 결국 위험을 안고가기로 결정했어요.” 이명박 당시 현대건설 사장이 정주영 회장 사후에 한 언론매체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이다. 과연 현대답다. “그 대신 한반도부터 아라비아반도까지의 해류 등 각종 수송 위험을 면밀히 분석했습니다. 필리핀 앞바다가 제일 위험하다는 결과가 나왔는데, 실제 그곳에서 풍랑을 만나 구조물이 사라졌지만 사전에 예상한 대로 대만 쪽으로 흘러간 구조물을 다시 회수해 무사히 수송을 마칠 수 있었어요.” 실로 대단하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1/AA.21456031.1.jpg)
결국 파악된 주요 리스크에 대비해 조직은 사용 가능한 여러 리스크 관리 수단의 비용·편익을 면밀히 분석한 뒤 주어진 상황에 최적인 리스크 관리 수단을 선택해 이행해야 한다. 상황을 불문하고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면서 사고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경감하는 리스크 통제(risk control)는 리스크 관리의 기본이자 필수다.
장동한 < 건국대 국제무역학과 교수·아시아태평양보험학회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