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에쿠스보다 튼튼"…소형SUV도 '고장력 강판' 시대
입력
수정
셀토스·티볼리·트레일블레이저 안전성 ↑
소형 SUV에도 고장력 강판 비율 높여
에쿠스와 같거나 높은 수준까지 올라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작은 차도 안전하다"며 이렇게 말했다.21일 업계에 따르면 소형 SUV에 적용되는 고장력·초고장력 강판 비율이 점차 높아져 80%에 육박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소형·준중형 SUV 차체에 적용된 고장력·초고장력 강판 비율은 기아차 셀토스 75%, 한국GM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78%, 쌍용차 베리 뉴 티볼리 79%를 기록했다.
차체에서 초고장력 강판 비율만 따지면 셀토스 45%, 트레일블레이저 티볼리 40% 트레일블레이저 22%(기가스틸)가 적용됐다. 고장력 강판은 1mm²당 60kg의 하중을, 초고장력 강판은 1mm²당 100kg의 하중을 견딘다. 기가스틸은 알루미늄보다 3배 강한 초고강도강으로, 일반적인 초고장력 강판보다 강도가 뛰어난 차세대 강판이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소형 SUV에 고장력 강판 비율이 높아진 것은 소형차의 중심이 경차에서 소형 SUV로 옮겨간 영향이다. 4~5년 전만 하더라도 소형차 시장 중심에는 경차가 있었다. 제조사들은 '작은 차는 안전하지 않다'는 소비자 인식을 극복하고 경차 판매량을 높이기 위해 고장력 강판 비율은 70%대까지 높인 바 있다. 당시 수요가 많지 않던 소형 SUV는 고장력 강판 비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에서도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교통안전연구원에 따르면 고장력 강판으로 제조한 승용차를 매년 1만9000㎞씩 10년 운행하면 일반 차량 대비 약 1.8t에 달하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한다. 무게가 가볍고 연비가 향상되니 배출가스도 줄어드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고장력 강판 제조기술도 향상돼 일반강과 비슷한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며 "과거에 비해 원가 부담이 크지 않아 자동차 차체에서 고장력 강판 비율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