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어떻게 건설하나

2026년 개항 목표…중장거리 노선 취항 가능한 활주로 건설
도로·철도 확충해 접근성 개선…기존 공항 터에 수변도시 조성
22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최종이전지 선정을 위한 주민투표가 완료됨에 따라 앞으로 건설하는 신공항 청사진에 관심이 쏠린다. 김영만 군위군수가 주민투표 결과에 불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일정에 변수가 생겼지만, 관련 자치단체들과 국방부는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이전지역 자치단체장이 주민투표 결과를 반영해 유치 신청하면 국방부 장관은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어 심의하고 이전부지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통합신공항은 11.7㎢ 땅에 활주로와 격납고 등을 갖추고 주변에 항공기 소음을 줄이는 완충 지역 3.6㎢를 두기 때문에 총 15.3㎢ 규모이다. 현재 군 공항 및 민간 공항으로 사용되는 대구공항보다 2.2배 넓다.

이 가운데 군 시설 건설, 주변 지원사업 비용 등 군 공항 건설에 드는 사업비는 약 9조원이다.

제11전투비행단, 군수사령부, 공중전투사령부 등 군 시설 비용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마련한다. 대구시가 이전지에 군 공항(K-2)을 지어 주고, 기존 K-2 부지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비용을 충당한다.

기존 부지 가치는 9조2천700억원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건설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정확한 사업비를 재산정한다. 민간공항 건설비용은 항공 수요 예측 등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 현재 공항보다 2배 이상 넓이
대구시는 통합신공항 이전지에 현재 대구공항보다 2배 이상 넓은 땅을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항 건설 이후 항공 수요 변화에 따른 확장까지 고려했다.

이곳에는 유럽, 북미 등 중·장거리 국제노선이 취항할 수 있도록 길이 3.2㎞ 이상 활주로를 건설한다.

시는 활주로 2개를 건설해 군 공항과 민간 공항으로 하나씩 사용하는 방안을 국방부·국토교통부와 협의한다.

또 다양한 국제노선을 개설하기 위해 충분한 슬롯(시간당 항공기 운항 가능 횟수)을 확보하는 데 힘을 쏟을 방침이다.

여객터미널은 연간 1천만명 항공 수요를 처리하는 규모로 지어 각종 스마트 서비스와 편의시설을 갖춘다.

화물터미널은 항공 물류량을 고려해 건설하고, 여객터미널과 분리한다.
◇ 2026년 민간·군 공항 동시 개항 목표
대구시는 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2026년 민간 공항과 군 공항을 동시 개항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신공항 청사진이 될 기본계획수립 용역비로 33억원을 배정해 공개입찰로 용역기관을 선정한다.

1년간 민간·군 공항시설 건설계획과 총사업비 산정, 이전지 및 소음 피해지역 주민 이주 대책을 수립한다.

이후 사업시행자를 지정하고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시는 국토교통부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2021∼2025)에 중·장거리 노선을 운영하는 통합신공항 위상이 반영되도록 건의할 방침이다.

변수는 K-2에 있는 미군 시설 이전 협상이다.

국내 다른 미군 시설 이전 협상이 예상보다 오래 걸린 점을 고려하면 기본계획수립 기간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
◇ 교통망 확충…공항 접근성 높인다
대구시는 도로, 철도 건설로 통합신공항과 대구·경북 주요 도시 간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대구에서 신공항 이전지까지 자동차로 1시간 이상 걸리는 교통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도로와 철도를 확충한다.

시는 대구 4차 순환도로 개통, 대구 북구 조야동∼경북 칠곡군 동명면 간 광역도로 건설, 중앙고속도로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건설 중인 4차 순환도로는 내년에, 조야∼동명 광역도로는 2024년 개통할 예정이다.

중앙고속도로 확장공사는 2024년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또 동대구역 및 서대구고속철도역(내년 개통 예정)과 통합신공항을 잇는 철도망 구축을 추진한다.

시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에 이를 반영하도록 지난해 10월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대구 도심공항터미널 설치, 대구∼신공항 간 셔틀버스 운행 등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로·철도 교통망을 확충하면 차로 30∼40분대에 신공항에 갈 수 있다"고 밝혔다.
◇ 공항 떠난 땅을 신성장 거점으로
대구시는 공항이 떠난 땅(693만 2천㎡)을 첨단산업과 문화·예술을 결합한 지역 신성장 거점으로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인근 금호강, 팔공산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수변도시를 컨셉트로 상업 도시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말레이시아 행정수도 푸트라자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등을 결합한 수변도시를 기본 모델로 삼아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대구만의 독창적 스마트시티를 만든다.

상업·주거·문화공간과 초고층 복합상업시설을 조성하고, 트램으로 내외부 연결 교통망을 구축하는 한편 대구혁신도시, 동대구벤처밸리 등 기존 거점지역과 연계해 동촌 신도시로 개발한다.

시는 소음과 고도제한에서 벗어나는 동구, 북구 일원을 재설계하는 장기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돈, 정보, 사람이 모이는 기능 집약적 미래복합도시를 지향한다"며 "청사진을 마련해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겠다"고 설명했다.
◇ 멀어지는 공항…반대 여론 달래기 남은 과제
대구공항이 경북으로 이전하는 데 반대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이를 어떻게 달랠지가 원만한 사업추진을 위한 과제로 남았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재선한 권영진 대구시장의 핵심 공약이다.

'시민의 힘으로 대구 공항 지키기 운동본부'(시대본)는 2018년 10월 "대구시민 1천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72.7%가 민간공항 존치를 희망했고 공항 이전 지지 응답은 22.3%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구공항 운송량이 급격한 증가세여서 근거리 국제선 전용으로 활용하면 지역경제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시 지역에 있는 국제공항을 멀리 옮기는 게 불만스러운 시민도 적잖다.

시민 유모(50·대구 수성구) 씨는 "도심에서 차로 20분이면 공항에 도착할 수 있는데 이전하면 찾아가기 불편해 이용 빈도가 떨어질 것이다"고 말했다. 강동필 시대본 사무총장은 "군 공항과 민간 공항 입지여건이 다른데 지금 추진하는 것은 실제로 군 공항이다"며 "군 공항 이전이 통합신공항 이전이라는 주장의 허구성을 시민에게 알리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