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폐렴' 무증상 입국자에 또 뚫렸다…보건당국 '초비상'
입력
수정
세번째·네번째 신종코로나 확진자 '무증상 입국자'
증상 나타난 후 지역사회 활동…"지역사회 전파 우려"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국내 확진자 4명 중 2명이 무증상 입국자로 드러나면서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이들은 초기 증상이 나타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등 지역사회 활동을 한 것으로 확인돼 보건당국이 접촉자 관리와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확진된 환자 4명 중 2명은 입국 당시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없어 검역망에 걸러지지 않았다.
앞서 발생한 첫 번째 환자와 두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경미한 증상이 있어 공항에서 각각 '조사대상 유증상자'와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됐다.그러나 세 번째 환자와 네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지역사회로 복귀했다가 이후 발열 등이 나타났다.
이들은 우한에서 각각 상하이와 칭다오를 경유해 입국했다.
특히 네 번째 환자는 지난 20일 입국 후 21일 감기, 25일 고열로 두 차례 병원에 방문했는데도 불구하고 걸러지지 않았다.네 번째 환자가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에 격리된 건 26일이다.
20일 입국 후 7일째, 21일 감기 증상이 나타난 후 6일째다.
증상이 발현된 후 지역사회에 머문 데 따라 접촉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확산이 우려된다.보건당국은 이 기간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파악해 능동감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네 번째 환자가 증상이 발현된 후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선별진료 시스템으로 넘어가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토로한다.
엄중식 가천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검역이 입국 당시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지역사회 복귀를 막기 위한 1차 방어벽이라면 2차 방어벽으로 의료기관의 선별진료 시스템 등을 만들어 둔 것"이라며 "1, 2차 방어벽이 모두 제 역할을 해야 하는데 네 번째 환자의 2차 방어벽의 취약점이 드러난 사례"라고 짚었다.
엄 교수는 "네 번째 환자가 입국 후 감기 증상 등으로 처음 병원을 찾았을 때 의심환자 사례로 보고 걸러졌다면 노출자와 노출 범위가 지금보다는 훨씬 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과도한 불안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마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은 26일 기자회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달리 잠복기에도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은 기침 등 증상이 나타나면서 전파력을 가진다.
우한 폐렴은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성상 '비말'(침방울) 전파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엄 교수는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 특성상 중증으로 가야 바이러스 전파력이 커진다"며 "경증이나 무증상 상태에서는 바이러스를 보유하더라고 전파력이 매우 낮은 편이어서 가족이나 의료기관 관계자 등 밀접 접촉자에 한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로부터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고 언급하려면 근거가 있어야 한다"며 "명확한 근거가 없는 상태에서 중국 보건당국의 책임자가 그렇게 언급한 건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질본은 현재 네 번째 환자의 이동 동선, 접촉자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조사 결과가 나오는 즉시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연합뉴스
증상 나타난 후 지역사회 활동…"지역사회 전파 우려"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국내 확진자 4명 중 2명이 무증상 입국자로 드러나면서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이들은 초기 증상이 나타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등 지역사회 활동을 한 것으로 확인돼 보건당국이 접촉자 관리와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확진된 환자 4명 중 2명은 입국 당시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없어 검역망에 걸러지지 않았다.
앞서 발생한 첫 번째 환자와 두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경미한 증상이 있어 공항에서 각각 '조사대상 유증상자'와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됐다.그러나 세 번째 환자와 네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지역사회로 복귀했다가 이후 발열 등이 나타났다.
이들은 우한에서 각각 상하이와 칭다오를 경유해 입국했다.
특히 네 번째 환자는 지난 20일 입국 후 21일 감기, 25일 고열로 두 차례 병원에 방문했는데도 불구하고 걸러지지 않았다.네 번째 환자가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에 격리된 건 26일이다.
20일 입국 후 7일째, 21일 감기 증상이 나타난 후 6일째다.
증상이 발현된 후 지역사회에 머문 데 따라 접촉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확산이 우려된다.보건당국은 이 기간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파악해 능동감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네 번째 환자가 증상이 발현된 후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선별진료 시스템으로 넘어가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토로한다.
엄중식 가천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검역이 입국 당시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지역사회 복귀를 막기 위한 1차 방어벽이라면 2차 방어벽으로 의료기관의 선별진료 시스템 등을 만들어 둔 것"이라며 "1, 2차 방어벽이 모두 제 역할을 해야 하는데 네 번째 환자의 2차 방어벽의 취약점이 드러난 사례"라고 짚었다.
엄 교수는 "네 번째 환자가 입국 후 감기 증상 등으로 처음 병원을 찾았을 때 의심환자 사례로 보고 걸러졌다면 노출자와 노출 범위가 지금보다는 훨씬 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에서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과도한 불안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마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은 26일 기자회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달리 잠복기에도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은 기침 등 증상이 나타나면서 전파력을 가진다.
우한 폐렴은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성상 '비말'(침방울) 전파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엄 교수는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 특성상 중증으로 가야 바이러스 전파력이 커진다"며 "경증이나 무증상 상태에서는 바이러스를 보유하더라고 전파력이 매우 낮은 편이어서 가족이나 의료기관 관계자 등 밀접 접촉자에 한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로부터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고 언급하려면 근거가 있어야 한다"며 "명확한 근거가 없는 상태에서 중국 보건당국의 책임자가 그렇게 언급한 건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질본은 현재 네 번째 환자의 이동 동선, 접촉자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조사 결과가 나오는 즉시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