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동평화구상 험로…요르단강 서안·예루살렘 해법 난망
입력
수정
이스라엘, 정착촌 합병 추진…팔레스타인 분쟁 격화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지만, 팔레스타인을 협상 테이블로 앉힐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평화구상에는 그동안 팔레스타인에 유화적 제스처로 볼 수 있는 내용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실적인 2국가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며 팔레스타인이 동예루살렘 일부 지역에서 국가를 건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2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국으로 공존하는 방안으로 1993년 오슬로평화협정 이후 중동평화 협상의 중심 의제였고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등 미국 대통령을 거치며 중동 외교정책의 근간을 이뤘다. 트럼프 행정부는 과거 정부와 달리 2국가 해법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중동평화구상을 주도한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은 작년 5월 미국 싱크탱크인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에서 중동평화안과 관련해 2국가 해법이라는 말을 쓰지 말자고 주장했다.
이런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2국가 해법 언급은 달라진 모습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구상에는 이스라엘이 4년간 요르단강 서안에 새로운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지 않는 내용이 담겼다.
유대인 정착촌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핵심 쟁점이라는 점에서 언뜻 팔레스타인 입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 비친다.
그러나 중동평화구상을 좀더 들여다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이스라엘 행보는 여전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중동평화구상으로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에 이스라엘 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 프리드먼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도 이날 기자들에게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을 언제든지 합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 언론은 네타냐후 총리가 다음달 2일 내각에서 요르단강 서안의 요르단계곡과 유대인 정착촌의 합병에 대한 표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요르단강 서안에는 팔레스타인인 약 290만명이 살고 있으며 유대인 정착촌에는 이스라엘인 약 60만명이 거주한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요르단강 서안을 강제로 점령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이곳의 정착촌 합병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팔레스타인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예루살렘 문제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첨예하게 대립 중인 사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하며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완전한 수도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수도라는 주장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12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고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긴다는 이른바 '예루살렘 선언'을 발표하면서 아랍권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후 팔레스타인자치정부는 미국 정부가 공정한 중재자로서 지위를 상실했다며 미국과 협상을 거부해왔다.
팔레스타인은 유대교, 기독교뿐 아니라 이슬람교의 성지인 동예루살렘을 이스라엘에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동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점령했으며 구시가지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메디나와 더불어 이슬람 3대 성지로 꼽히는 알아크사 모스크(이슬람사원)가 있다.
동예루살렘을 미래의 독립국 수도로 여기는 팔레스타인은 당장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에 반발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은 "예루살렘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번 평화구상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은 팔레스타인의 반발로 성과를 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의 팔레스타인 수백명은 28일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에 반대하는 시위를 했다고 팔레스타인 뉴스통신 '와파'(WAFA)가 전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했지만, 팔레스타인을 협상 테이블로 앉힐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평화구상에는 그동안 팔레스타인에 유화적 제스처로 볼 수 있는 내용이 눈에 띈다.
무엇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실적인 2국가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며 팔레스타인이 동예루살렘 일부 지역에서 국가를 건설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2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각 독립국으로 공존하는 방안으로 1993년 오슬로평화협정 이후 중동평화 협상의 중심 의제였고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등 미국 대통령을 거치며 중동 외교정책의 근간을 이뤘다. 트럼프 행정부는 과거 정부와 달리 2국가 해법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중동평화구상을 주도한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은 작년 5월 미국 싱크탱크인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에서 중동평화안과 관련해 2국가 해법이라는 말을 쓰지 말자고 주장했다.
이런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2국가 해법 언급은 달라진 모습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구상에는 이스라엘이 4년간 요르단강 서안에 새로운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지 않는 내용이 담겼다.
유대인 정착촌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핵심 쟁점이라는 점에서 언뜻 팔레스타인 입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것으로 비친다.
그러나 중동평화구상을 좀더 들여다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친(親)이스라엘 행보는 여전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번 중동평화구상으로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에 이스라엘 법을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 프리드먼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도 이날 기자들에게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의 정착촌을 언제든지 합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 언론은 네타냐후 총리가 다음달 2일 내각에서 요르단강 서안의 요르단계곡과 유대인 정착촌의 합병에 대한 표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현재 요르단강 서안에는 팔레스타인인 약 290만명이 살고 있으며 유대인 정착촌에는 이스라엘인 약 60만명이 거주한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요르단강 서안을 강제로 점령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이곳의 정착촌 합병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팔레스타인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예루살렘 문제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첨예하게 대립 중인 사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동평화구상을 발표하며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완전한 수도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예루살렘이 이스라엘의 수도라는 주장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12월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고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긴다는 이른바 '예루살렘 선언'을 발표하면서 아랍권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후 팔레스타인자치정부는 미국 정부가 공정한 중재자로서 지위를 상실했다며 미국과 협상을 거부해왔다.
팔레스타인은 유대교, 기독교뿐 아니라 이슬람교의 성지인 동예루살렘을 이스라엘에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동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제3차 중동전쟁 이후 점령했으며 구시가지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메디나와 더불어 이슬람 3대 성지로 꼽히는 알아크사 모스크(이슬람사원)가 있다.
동예루살렘을 미래의 독립국 수도로 여기는 팔레스타인은 당장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에 반발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은 "예루살렘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이번 평화구상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은 팔레스타인의 반발로 성과를 내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이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의 팔레스타인 수백명은 28일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평화구상에 반대하는 시위를 했다고 팔레스타인 뉴스통신 '와파'(WAFA)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