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대책·고령화 여파…인구이동률 47년 만에 최저
입력
수정
2019년 국내인구이동…수도권 3년째 순유입, 서울은 30년째 순유출
고령화와 저성장, 9·13 대책 등에 따른 부동산 매매 감소로 지난해 국내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이 거의 반세기 만에 가장 뜸해졌다.반면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수도권 인구 유입은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서울 인구는 30년째 순유출을 이어갔다.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천명(2.6%) 감소한 710만4천명이었다.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이 같은 인구이동률은 1972년 11.0% 이후 4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1990년대 20%대를 웃돌던 인구이동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하락세가 뚜렷하다.이동이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들고 60대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난 데다, 경제성장률이 둔화한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전년 대비 인구이동이 감소한 배경으로는 9·13 대책이 지목됐다.
지난해 주택매매거래량은 전년보다 6.0%(5만1천건) 감소했고, 신규입주예정 아파트수는 11.6%(5만3천건) 줄어들면서,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수가 16만3천명 줄었다.인구이동 사유를 비중으로 보면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이동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돼 인구이동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시도 내 이동은 471만9천명(전체 이동자수의 66.4%), 시도 간 이동은 238만5천명(33.6%)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시도내 이동은 3.0%, 시도 간 이동은 1.8% 줄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이 25.3%로 가장 높았고 광주(15.0%), 서울(14.9%)·경기(14.9%)가 뒤를 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천명), 세종(2만4천명), 제주(3천명)·충북(3천명), 강원(2천명) 등 5개였다.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감소했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천명), 부산(-2만3천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 대비 순이동자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았고, 순유출률은 대전(-1.1%), 대구(-1.0%), 울산(-0.9%)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천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천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지난해 12월 총이동자 수는 6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4.6% 늘었다.인구이동률은 14.8%로 1년 전(14.2%)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연합뉴스
고령화와 저성장, 9·13 대책 등에 따른 부동산 매매 감소로 지난해 국내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이 거의 반세기 만에 가장 뜸해졌다.반면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수도권 인구 유입은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서울 인구는 30년째 순유출을 이어갔다.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천명(2.6%) 감소한 710만4천명이었다.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감소했다.
이 같은 인구이동률은 1972년 11.0% 이후 47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1990년대 20%대를 웃돌던 인구이동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하락세가 뚜렷하다.이동이 활발한 20∼30대 인구가 줄어들고 60대 이상 고령 인구가 늘어난 데다, 경제성장률이 둔화한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전년 대비 인구이동이 감소한 배경으로는 9·13 대책이 지목됐다.
지난해 주택매매거래량은 전년보다 6.0%(5만1천건) 감소했고, 신규입주예정 아파트수는 11.6%(5만3천건) 줄어들면서, 주택을 사유로 한 인구이동자수가 16만3천명 줄었다.인구이동 사유를 비중으로 보면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 순이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이동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돼 인구이동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시도 내 이동은 471만9천명(전체 이동자수의 66.4%), 시도 간 이동은 238만5천명(33.6%)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시도내 이동은 3.0%, 시도 간 이동은 1.8% 줄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이 25.3%로 가장 높았고 광주(15.0%), 서울(14.9%)·경기(14.9%)가 뒤를 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순이었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천명), 세종(2만4천명), 제주(3천명)·충북(3천명), 강원(2천명) 등 5개였다.
경기·세종·제주·충북은 전년보다 순유입이 감소했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천명), 부산(-2만3천명) 등 12개 시도였다.
인구 대비 순이동자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세종(7.3%), 경기(1.0%), 제주(0.4%) 순으로 높았고, 순유출률은 대전(-1.1%), 대구(-1.0%), 울산(-0.9%)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천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천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지난해 12월 총이동자 수는 64만6천명으로 1년 전보다 4.6% 늘었다.인구이동률은 14.8%로 1년 전(14.2%)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