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과공비례는 없다

반원익 <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bwonick@gmail.com >
반원익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
기업인으로 오래 살았다. 대기업 입사 추천을 여럿 받은 터라 만류가 있었지만, 도급 순위 10위 건설회사를 택했다. ‘마흔다섯에 부장이 될 거냐, 사장이 될 거냐’는 면접위원의 질문에 진로는 쉽게 정해졌다.

무언가를 이끌어 이루고 싶었다. 밤낮없이 일했고, 조금은 내세울 만한 성과도 있었다. 돌이켜보면 성실하게 뒷받침해준 동료들 덕분이다. 최연소 무엇, 최초의 무엇은 사소한 것에 불과했다. 다양한 관계 속에서 얻은 인연들, 수십 년 지나도록 안부를 전해오는 소중한 사람들이야말로 진짜 보상이다.세계 인구가 78억 명에 육박했다. 평범해 보이는 일상 속 두 사람의 만남은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의 낮은 확률을 돌파해야만 간신히 이뤄진다. 첨단 나노기술, 10억분의 1m에 불과한 미시의 공간이 자아내는 경탄 이상의 불가사의에 가깝다.

불교에서는 스치는 인연에도 수천 겁의 시간이 쌓여 있다고 가르친다. 겁은 큰 바위가 백 년에 한 번 비단에 닦여 닳아 없어져도 끝나지 않는 시간이다. 외롭고 위태로운 삶의 유한성을 생각할 때 모든 사람은 그저 있어줘서 고마운 존재로 홀연히 떠오른다. 감사와 배려, 사랑과 평화의 윤리적 당위는 이처럼 단순한 사실에 뿌리를 둔다.

사소한 불만으로 주차장 바닥에 아르바이트생을 무릎 꿇리고, 경적 한 번에 보복 운전으로 생명을 위협했다는 폭력적인 뉴스가 끊이지 않는다. 말조차 제대로 못 하는 아기를 밀치고 때리는 어린이집 CCTV 화면마저 자주 대하게 된다. 사회에 대한 불만으로 공동주택에 불을 지르고, 놀라서 뛰어나오는 노약자와 어린 이웃을 잔혹하게 살해한 범죄도 있었다. 안타깝고, 안타깝다.인간의 존엄성과 인연의 고귀함에 대한 인식과 공감을 일깨워야 한다. 송나라 유학자 정자는 과공비례(過恭非禮)를 말했다. 과도한 겸손이 때로는 상대방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속이 빤히 보이는데, 지나치게 자신을 낮추는 모습은 볼썽사납다. 선거철에만 반짝 지하철 입구에서 머리를 조아리는 정치인들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진심이라면, 생명에 대한 존중과 인연에 대한 감사를 감출 수 없어 우러난 것이라면, 좀 지나쳐도 괜찮지 않을까. 어른이 아이에게, 선배가 후배에게, 통념상 굳이 그러지 않아도 흠 잡히지 않는 관계에서라면 더욱 아름답다.

퇴근 후 급한 일이 생겨 통화할 수 있는지 문자로 묻고 답장을 기다리고 있다. 처한 상황을 알 수 없으니 아무 때나 무턱대고 다이얼을 누르기보다 되도록 이런 방식을 고집한다. 사람과 사람이 만날 때, 과공비례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