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LG디스플레이, LCD 업황 악화에 작년 1조3594억 '영업손실'
입력
수정
31일 4분기 실적 발표
LCD 가격 하락에 자산손상 악재 겹쳐

LG디스플레이는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손실이 1조3594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23조4756억원으로 전년 대비 4% 줄었고, 순손실도 2조8721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커졌다.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역시 42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돌아섰다. 단 4분기 영업손실 규모는 당초 시장 예상치인 약 5600억원보다는 적었다.
LG디스플레이의 대규모 적자는 LCD 업황 악화와 자산손상 처리 비용이 겹치면서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P-OLED) 제품 본격 양산에 따른 고정비 증가와 LCD 구조혁신 과정에서의 손실 지속으로 인해 영업적자폭이 직전 분기(4367억원 적자) 대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분기 1조6000억원의 자산손상도 처리했다. 자산손상은 유형자산으로 벌어들일 수 있는 순현금의 가치가 장부상 금액보다 적을 것으로 예측될 때 차액을 손실로 기록하는 것이다.
LG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조명사업 철수에 따른 손상 2000억원과 P-OLED 사업 환경 악화 1조4000억원 등을 반영했다.
앞서 2018년 P-OLED 사업 전망은 긍정적이었으나 본격 양산을 시작한 지난해부터 시장 정체와 교체 주기 지연으로 투자 당시 예상했던 환경과 상당히 달라졌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지난해 4분기에는 모바일용 패널이 전제 매출의 36%를 차지해 비중이 가장 컸다. TV용 패널은 매출 비중이 28%, 노트북 및 태블릿용 패널은 20%, 모니터용 패널은 16%로 집계됐다.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OLED TV와 P-OLED 스마트폰 출하 증가 등으로 면적당 판가는 전 분기 대비 18% 상승해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P-OLED 사업은 전략 방향성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올 하반기 이후부터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을 이룰 예정"이라고 내다봤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