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명절에 날아온 감사 손편지…"삼성式 상생으로 매출 146% 늘었어요"

지난해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19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스마트비즈 엑스포’에 참가한 중소기업 관계자들이 상담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김종호 삼성전자 스마트공장지원센터장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이 끝날 때마다 감사편지를 받는다. 중소기업 대표들은 “삼성전자 덕분에 생산성을 높였다”며 고마움을 전한다.

고미선 인제군장애인보호작업장 원장이 대표적인 예다. 고 원장은 명절 때마다 감사의 뜻을 담은 손편지를 김 센터장에게 보낸다. 올해 설을 앞두고서도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덕에 매출이 전년보다 146% 늘어 근로자에게 명절휴가비를 지급할 수 있게 됐다”고 고마워했다.협력사 아닌 중기도 지원 ‘삼성식 상생’

강원 인제에 있는 인제군장애인보호작업장은 중증 장애인 12명과 사회복지사들이 지역 특산물인 황태를 가공해 판매하는 곳이다. 작업장 컨설팅을 맡은 삼성전자 직원은 몸이 불편한 직원들이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공정을 효율화하고, 자동화기기 등을 개발했다.

이 작업장은 장애인 복지시설이지만 국가에서 임금을 지원해주는 곳이 아니다. 장애인 스스로가 제품을 생산, 판매해 얻은 수익을 임금으로 지급한다. 이를 위해 2017년 황태 임가공 사업에서 황태 제조판매로 사업 범위를 넓혔다. 그런데 사업 규모가 커짐에 따라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의 제조 환경 개선이 절실했다. 2018년 삼성전자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는 소식을 듣고 신청했다.원래 이곳처럼 사회복지시설은 신청 자격이 없었다. 2018년 10월 시작된 2차 지원사업부터 달라졌다. 복지시설도 제조업 사업자등록증이 있으면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인제군장애인보호작업장도 삼성전자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공장 자동화에 힘썼다. 황태 가공 작업을 편하게 개선해 작업자의 편의를 도왔다.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이후 이곳의 생산성은 약 280% 증가했다. 불량률은 67% 줄었다. 삼성전자 임직원이 사고파는 ‘사내 직거래 장터’에 입점해 판로도 넓혔다.

삼성전자는 인제군장애인보호작업장처럼 협력사가 아닌 중소기업도 지원하고 있다. 삼성과 거래가 없는 중소·중견기업이 지원 대상이다. 2015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의 성과가 날로 좋아지면서 중소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청 업체가 지난해부터 1800개를 넘어서자 연간 300개였던 지원 업체 수를 500개로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전담 직원을 150명에서 200명으로 늘렸다. 1만2000개에 달하는 자사 특허도 중소기업에 개방했다. ‘삼성의 혁신 DNA’가 중소기업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자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규모를 더 키우기로 했다.중소기업에 특허 개방

삼성전자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의 도우미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2005년 국내 최초로 거래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기 시작했다. 2011년부터는 대금 지급 횟수를 월 2회에서 4회로 늘렸다.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하고 명절 때마다 구매 대금을 조기에 지급해 협력사들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다양한 금융 지원 시스템도 확립했다. 2010년 1조원 규모로 조성한 상생펀드가 대표적이다. 자금이 필요한 협력회사에 최대 90억원을 저리로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기술개발과 설비투자에 필요한 자금이나 운전자금 등이 지원 대상이다.2차 협력업체들은 물대지원펀드를 이용할 수 있다. 2017년 5000억원 규모로 조성됐다. 1차 협력사에 최대 2년간 무이자 대출을 지원하면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에 30일 이내 납품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2018년 3000억원을 추가 조성해 3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로부터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빨리 받을 수 있는 체계를 확립했다.

삼성전자는 2015년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보유 특허 2만7000여 건을 개방했다. 특허 활용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이 특허 공유를 신청하면 삼성전자의 특허 전문가와 계약 조건을 협의한 뒤 특허를 이용할 수 있는 형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협력사로 지원 범위를 넓혀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