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도 양극화' 한달새 2배이상 뛴 마스크값 빈곤층에 큰 부담
입력
수정
전문가 "정부·지자체 지원 늘리지만 사각지대 있어…지원체계 정비해야"사건팀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신종코로나)의 확산으로 위생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개인 방역용품이 생활필수품이 되고 있다.그러나 최근 이들 가격이 크게 뛰고 신종코로나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쪽방촌 주민들이나 노인, 취업 준비생 등 경제적 빈곤층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4일 소비자시민모임이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5곳의 마스크 한장당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성인용 KF94 마스크는 3천148원, 성인용 KF80 마스크는 2천663원이었다.
2018년 4월 조사한 가격과 비교하면 KF94는 2.7배, KF80은 2.4배 각각 올랐다.일반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감당 가능한 가격일 수 있지만, 일정한 수입이 없는 빈곤층에게는 마스크 한두 개 구입하는 일조차 버거운 형편이다.
노동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노년 빈곤층에게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한층 더 힘겹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역 광장에서 만난 노숙인 염모(67)씨는 "마스크를 구할 형편도 아니고 살 생각도 안 해봤다"며 "감기가 떨어지지 않아 쿨럭거리면 주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게 느껴진다.역사 안에 비치된 손 소독제를 바르며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서대문구 북아현동에서 폐품을 수집하는 김모(79)씨는 "가격이 부담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반 마스크를 썼다"며 "얼마 전 아들이 '그거는 하나 마나'라며 문방구에서 10장을 사다 줬는데 다 쓰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고시생 등 젊은 저소득층에게도 마스크를 수시로 구입해야 하는 상황은 부담스럽다.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고시 공부를 하는 임모(24)씨는 "고시생이라 소득이 없는데 한 개에 3천원 정도 하는 마스크를 사려면 다른 소비를 줄여야 한다"며 "요즘은 마스크 비용 걱정에 고시원 식당 외에 다른 곳에서 밥을 사 먹는 건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정모(26) 씨는 "한 장에 2천500원 하는 마스크를 매일 아침 사서 끼고 있는데 솔직히 부담스럽다"며 "나보다도 돈을 적게 버는 사람들도 있는 만큼 정부나 공공기관이 사회적 약자를 위해 마스크를 나눠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방역용품 구매 부담이 커지자 지방자치단체나 각종 복지재단은 취약계층을 위해 방역용품 지원을 늘리고 있다.서울시는 신종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 167억원을 투입하기로 지난달 28일 결정했다.
이 기금은 지하철역, 시내버스, 노숙인 시설, 장애인·노인 복지 시설, 어린이집, 초등돌봄시설, 보건소, 현장 구급대원 등을 위한 물품 구매 등에 활용된다.
대한적십자사도 조손 가정이나 독거노인 등 재난 취약계층 4천 세대에 마스크 2만매를 배부하기로 했다.
실제로, 남대문 쪽방촌 상담소 문 앞에는 손 소독제와 마스크가 비치해 놓고 드나드는 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쪽방촌 주민 정찬식(65)씨는 "주민센터에서 한 사람당 마스크 40개를 지원해 줘 사용하고 있다"며 "아직은 마스크를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 같은 사태가 장기화하고 방역용품 수급이 나아지지 않으면 지원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쪽방촌이나 복지시설 등 외부 지원이 절실한 곳은 벌써 걱정스러운 표정이다.
남대문 쪽방 상담소에서 근무하는 배일환(54)씨는 "미세먼지가 심할 때 받은 마스크를 쓰고 있어 아직은 부족하지 않다"며 "사태가 장기화하면 마스크 부족 사태가 올 수도 있어 걱정된다"고 말했다.
용산구 후암동의 한 아동복지시설 관계자도 "지난해 미세먼지가 한창일 때 후원받은 마스크가 있어 아직은 괜찮은데 점점 소진되고 있다"며 "후원을 받지 못하면 직접 구매해야 하는데 비용 때문에 걱정된다"고 말했다.시민단체 '홈리스행동'의 이동현 활동가는 "서울시가 노숙인이나 쪽방촌 노인들에게 마스크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지원체계가 서울역이나 영등포 등 일부 지역에 밀집돼 있다"며 "다른 지역에 사는 노숙인들이 마스크를 얻기 위해 서울역까지 가야 하는 등 사각지대가 있어 지원 인력과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4일 소비자시민모임이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5곳의 마스크 한장당 평균 가격을 조사한 결과 성인용 KF94 마스크는 3천148원, 성인용 KF80 마스크는 2천663원이었다.
2018년 4월 조사한 가격과 비교하면 KF94는 2.7배, KF80은 2.4배 각각 올랐다.일반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감당 가능한 가격일 수 있지만, 일정한 수입이 없는 빈곤층에게는 마스크 한두 개 구입하는 일조차 버거운 형편이다.
노동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노년 빈곤층에게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한층 더 힘겹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역 광장에서 만난 노숙인 염모(67)씨는 "마스크를 구할 형편도 아니고 살 생각도 안 해봤다"며 "감기가 떨어지지 않아 쿨럭거리면 주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게 느껴진다.역사 안에 비치된 손 소독제를 바르며 지내고 있다"고 말했다.
서대문구 북아현동에서 폐품을 수집하는 김모(79)씨는 "가격이 부담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반 마스크를 썼다"며 "얼마 전 아들이 '그거는 하나 마나'라며 문방구에서 10장을 사다 줬는데 다 쓰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고시생 등 젊은 저소득층에게도 마스크를 수시로 구입해야 하는 상황은 부담스럽다.서울 관악구 신림동에서 고시 공부를 하는 임모(24)씨는 "고시생이라 소득이 없는데 한 개에 3천원 정도 하는 마스크를 사려면 다른 소비를 줄여야 한다"며 "요즘은 마스크 비용 걱정에 고시원 식당 외에 다른 곳에서 밥을 사 먹는 건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정모(26) 씨는 "한 장에 2천500원 하는 마스크를 매일 아침 사서 끼고 있는데 솔직히 부담스럽다"며 "나보다도 돈을 적게 버는 사람들도 있는 만큼 정부나 공공기관이 사회적 약자를 위해 마스크를 나눠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방역용품 구매 부담이 커지자 지방자치단체나 각종 복지재단은 취약계층을 위해 방역용품 지원을 늘리고 있다.서울시는 신종코로나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관리기금 167억원을 투입하기로 지난달 28일 결정했다.
이 기금은 지하철역, 시내버스, 노숙인 시설, 장애인·노인 복지 시설, 어린이집, 초등돌봄시설, 보건소, 현장 구급대원 등을 위한 물품 구매 등에 활용된다.
대한적십자사도 조손 가정이나 독거노인 등 재난 취약계층 4천 세대에 마스크 2만매를 배부하기로 했다.
실제로, 남대문 쪽방촌 상담소 문 앞에는 손 소독제와 마스크가 비치해 놓고 드나드는 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쪽방촌 주민 정찬식(65)씨는 "주민센터에서 한 사람당 마스크 40개를 지원해 줘 사용하고 있다"며 "아직은 마스크를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 같은 사태가 장기화하고 방역용품 수급이 나아지지 않으면 지원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쪽방촌이나 복지시설 등 외부 지원이 절실한 곳은 벌써 걱정스러운 표정이다.
남대문 쪽방 상담소에서 근무하는 배일환(54)씨는 "미세먼지가 심할 때 받은 마스크를 쓰고 있어 아직은 부족하지 않다"며 "사태가 장기화하면 마스크 부족 사태가 올 수도 있어 걱정된다"고 말했다.
용산구 후암동의 한 아동복지시설 관계자도 "지난해 미세먼지가 한창일 때 후원받은 마스크가 있어 아직은 괜찮은데 점점 소진되고 있다"며 "후원을 받지 못하면 직접 구매해야 하는데 비용 때문에 걱정된다"고 말했다.시민단체 '홈리스행동'의 이동현 활동가는 "서울시가 노숙인이나 쪽방촌 노인들에게 마스크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지원체계가 서울역이나 영등포 등 일부 지역에 밀집돼 있다"며 "다른 지역에 사는 노숙인들이 마스크를 얻기 위해 서울역까지 가야 하는 등 사각지대가 있어 지원 인력과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