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시즌 개봉박두'…국민연금 2년새 반대비율 4.6%P 상승
입력
수정
'이사·감사 보상' 반대율 28.98%로 최고…유진그룹 반대율 55.6%
CEO스코어, 2017∼19년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 전수조사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가진 기업의 주주총회에서 반대 의사를 표시한 안건이 2년 만에 4.6%포인트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책임 원칙)가 2018년 도입됨에 따라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올해 주총에서는 '국민연금기금 적극적 주주활동 가이드라인'이 적용됨에 따라 의결권 행사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지난해 정기 및 임시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577개사의 안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모두 626회의 주총에서 4천139건의 안건이 다뤄진 것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행사한 것은 682건으로 전체의 16.48%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의결권을 행사한 기업 542개사의 안건 3천839건 가운데 455건에 반대표를 던져 반대 비율은 11.85%를 기록했다.
2년 만에 반대 비율은 4.63%포인트 올랐다.반면, 찬성 비율은 87.34%(3천353건)에서 83.11%(3천440건)로 4.23%포인트 낮아졌고, 중립·기권 등 의결권 미행사는 0.81%(31건)에서 0.41%(17건)로 소폭 하락했다.
지난해 주총에서 국민연금의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안건은 '이사 및 감사의 보상'으로 873건 가운데 28.98%(253건)를 반대했다.
이어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15.87%), '이사, 감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15.38%), 정관변경(15.32%), 자본의 감소(14.29%) 등의 순이었다.특히 이사·감사의 보상 안건에 반대한 비율은 2년 전(6.19%)보다 22.79%포인트 급증했다.
2년 전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정관변경은 2017년 25.67%에서 지난해 15.32%로 10.35%포인트 하락했다.
개별 반대 안건 수는 67건에서 95건으로 늘었지만, 전체 안건 수가 3천839건에서 4천139건으로 7.8% 늘어나 비율은 낮아졌다.그룹별로는 유진의 9개 주총 안건 가운데 5건(55.56%)을 반대해 반대율이 가장 높았다.
반대율이 50%를 넘는 대기업집단은 유진이 유일했다.
이어 아모레퍼시픽(43.75%), 태광(42.86%), 삼천리(37.5%), KCC·SM·넷마블(각 36.36%), 카카오(28.57%), 영풍(28.0%), 하림(26.32%), 세아·셀트리온(각 25.0%), 태영(22.22%), 롯데(21.25%) 등이 20%를 넘었다.
아울러 한진·애경(각 17.95%), 한국테크놀로지·KT&G(각 16.67%), 현대자동차(16.35%), LS(15.79%), 코오롱·네이버(각 15.38%), 다우키움(15.0%), KT(14.81%), 농협(14.71%), 대우건설(14.29%), CJ(13.64%), 삼성(13.48%), 금호석유화학·한국투자금융(12.5%), DB(11.76%), SK(11.58%), 하이트진로(11.11%), 대우조선해양(10.0%) 등도 10%를 넘었다.국민연금이 반대표를 한 표도 던지지 않은 그룹은 한라와 대림, 두산, 금호아시아나 등 4곳에 그쳤다.
/연합뉴스
CEO스코어, 2017∼19년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 전수조사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가진 기업의 주주총회에서 반대 의사를 표시한 안건이 2년 만에 4.6%포인트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스튜어드십 코드(수탁자책임 원칙)가 2018년 도입됨에 따라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올해 주총에서는 '국민연금기금 적극적 주주활동 가이드라인'이 적용됨에 따라 의결권 행사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지난해 정기 및 임시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577개사의 안건을 전수 조사한 결과 모두 626회의 주총에서 4천139건의 안건이 다뤄진 것으로 집계됐다.이 가운데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행사한 것은 682건으로 전체의 16.48%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의결권을 행사한 기업 542개사의 안건 3천839건 가운데 455건에 반대표를 던져 반대 비율은 11.85%를 기록했다.
2년 만에 반대 비율은 4.63%포인트 올랐다.반면, 찬성 비율은 87.34%(3천353건)에서 83.11%(3천440건)로 4.23%포인트 낮아졌고, 중립·기권 등 의결권 미행사는 0.81%(31건)에서 0.41%(17건)로 소폭 하락했다.
지난해 주총에서 국민연금의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안건은 '이사 및 감사의 보상'으로 873건 가운데 28.98%(253건)를 반대했다.
이어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15.87%), '이사, 감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15.38%), 정관변경(15.32%), 자본의 감소(14.29%) 등의 순이었다.특히 이사·감사의 보상 안건에 반대한 비율은 2년 전(6.19%)보다 22.79%포인트 급증했다.
2년 전 반대 비율이 가장 높았던 정관변경은 2017년 25.67%에서 지난해 15.32%로 10.35%포인트 하락했다.
개별 반대 안건 수는 67건에서 95건으로 늘었지만, 전체 안건 수가 3천839건에서 4천139건으로 7.8% 늘어나 비율은 낮아졌다.그룹별로는 유진의 9개 주총 안건 가운데 5건(55.56%)을 반대해 반대율이 가장 높았다.
반대율이 50%를 넘는 대기업집단은 유진이 유일했다.
이어 아모레퍼시픽(43.75%), 태광(42.86%), 삼천리(37.5%), KCC·SM·넷마블(각 36.36%), 카카오(28.57%), 영풍(28.0%), 하림(26.32%), 세아·셀트리온(각 25.0%), 태영(22.22%), 롯데(21.25%) 등이 20%를 넘었다.
아울러 한진·애경(각 17.95%), 한국테크놀로지·KT&G(각 16.67%), 현대자동차(16.35%), LS(15.79%), 코오롱·네이버(각 15.38%), 다우키움(15.0%), KT(14.81%), 농협(14.71%), 대우건설(14.29%), CJ(13.64%), 삼성(13.48%), 금호석유화학·한국투자금융(12.5%), DB(11.76%), SK(11.58%), 하이트진로(11.11%), 대우조선해양(10.0%) 등도 10%를 넘었다.국민연금이 반대표를 한 표도 던지지 않은 그룹은 한라와 대림, 두산, 금호아시아나 등 4곳에 그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