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 미루면 수익 타격"…돈 걱정 앞선 대학들
입력
수정
지면A27
교육부 개강 연기 권고교육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을 막겠다며 전국 대학에 개강 연기를 권고했지만 일선 대학에선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서울대 고려대 건국대 등 주요 대학들은 교육부 주문이 떨어진 지 1주일이 다 되도록 개강 연기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대학들은 “개강을 미루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종강 등 학사 일정이 통째로 바뀌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댔다. 하지만 개강 연기 결정을 차일피일 미루는 이유에는 ‘금전적 손실’ 우려가 크다는 게 교육계의 분석이다.
주요 대학들 아직도 결정 못해
학사일정 미루면 방학 짧아져
어학당·계절학기 등 수입 차질
"수업감축땐 1~2주 감소분만큼
학내 '등록금 인하' 요구 불보듯"
방학에 운영하는 수익사업 차질 우려
9일 교육계에 따르면 대학들이 교육부의 개강 연기 권고를 받아들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개강을 미루는 동시에 종강 날짜를 포함한 모든 학사 일정을 동일하게 연기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는 개강을 늦추더라도 수업일수를 줄여 1학기 종강 시기를 종전과 비슷하게 맞추는 것이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르면 대학은 부득이한 경우 수업일수를 최대 2주 감축할 수 있다.
대학들은 두 가지 선택지 모두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점 때문에 개강 연기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첫 번째 방법대로 학사 일정 전체를 뒤로 미루면 자연스레 여름방학이 줄어든다. 방학 기간에 대학은 여러 수익사업을 한다. 외국인 유학생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어학당 등 어학 교육기관 운영이 대표적이다. 개강을 연기하면 그만큼 수익사업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방학에 3주가량 여는 계절학기 운영도 대학엔 주요 등록금 수입원이다. 여름방학이 늦춰지면 계절학기도 일정 변경이 불가피하다. 서울지역의 한 대학 관계자는 “개강을 연기해야 한다고 심적으로는 동의하지만, 금전적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아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수업 감축해도 등록금은 못 줄여”
개강을 미루고 수업일수를 줄이는 방안에도 돈 문제가 걸린다. 전국 대부분 대학은 2020학년도 정시 전형 선발을 조만간 마무리하고 1학기 등록금 납부 기간을 1~2주가량 앞두고 있다. 학생들이 곧 내야 할 등록금은 지난해와 동일한데 대학이 수업일수를 줄인다고 하면 “수업을 받지 못하는 만큼 등록금도 줄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학내 반발이 나올 우려가 크다.대학들은 선제적으로 등록금을 삭감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주장을 편다. 등록금 동결 정책이 12년째 이어지면서 등록금을 내릴 형편이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학기당 15~16주 수업을 하고 있는 대학이 2주간 수업을 하지 않으면 약 12~13%의 등록금을 깎아줘야 한다. 지난 5일 서울대를 제외한 전국 9개 거점 국립대도 13주로 수업을 단축하기로 결정했지만 등록금 문제에는 이렇다 할 합의를 보지 못 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한 사립대 기획처 관계자는 “한푼이 아까운 마당에 등록금을 10% 넘게 삭감해 고지할 가능성은 ‘제로(0)’에 가깝다”며 “교육부는 감축할 수업을 온라인 원격수업으로 대체하면 된다고 하지만 이 역시 수업의 질 저하 논란이 불가피해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