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문영 "모빌리티·인공지능이 미래사회 주도…기업 혁신경쟁 적극 돕겠다"

인터뷰 -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

인공지능 로봇·드론 비행체 등
국내 기업의 CES 전시 인상적

데이터와 플랫폼이 연결되는
'사물 지능'이 미래사회 주도
“인공지능(AI)과 모빌리티(이동수단), 로봇, 드론 등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꽤 오래전부터 이야기돼온 것에 비해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에 대한 도전과 미래 비전은 포기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런 점에서 삼성의 AI 로봇이나 현대의 드론비행체, 두산의 AI 건설장비와 로봇팔 등 한국 기업들의 지속적인 기술 진보와 도전은 인상 깊고 자랑스러웠습니다.”

지난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0’에 다녀온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사진)은 “노인요양병원 같은 곳에서 사용하기 좋은 양치기계나 모기 위치를 레이저로 표시해주는 아이디어 제품은 많았지만 지난해 전시회와 비교할 때 큰 진전은 없어 보였다”며 이 같은 화두를 던졌다. 임 정책관은 한국PC통신(현 KTH)을 거쳐 나우콤 창립 멤버로 대표운영자를 지낸 정보기술(IT) 전문가다. iMBC 미디어센터장과 국회사무처 온라인뉴스ON편집장, 경기도 정보화정책관을 거쳐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으로 일하고 있다. CES 2020 참관을 계기로 혁신기술 트렌드와 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정책 방향 등을 들어봤다.▷올 전시회는 어떤 특징을 보였나.

“CES는 몇 번 참석해본 적이 있다. 세계적인 첨단기술 전시 무대답게 모빌리티, 스마트도시, AI, 헬스케어 등 주요 기술 트렌드를 반영한 신제품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CES에서 기업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키워드는 모빌리티와 AI라고 생각된다. 양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성능을 고도화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과 첨단기술이 집약된 모빌리티를 스마트시티에 적용해간다는 비전이 제시됐다.”

▷열거한 기술들이 연결성과 관계가 깊어 보인다.“전시된 기기가 모두 어딘가에 연결되고 데이터가 흐르며 그 안에서 분석과 판단이 이뤄지는 특징을 보였다. 그것은 곧 데이터와 플랫폼을 배경으로 하는 거대 기술기업들이 보이지 않는 무대에 있다는 뜻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같은 미국의 주요 기업은 전시회에서 자신들을 크게 드러내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은 전시회에 나온 수많은 기기를 네트워크와 알고리즘, 서비스를 통해 통제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회사다. CES는 보이는 소비재 전자기기와 보이지 않는 데이터, 플랫폼이 함께 미래를 설명하는 느낌이었다.”

▷자동차 관련 기술도 많이 소개됐다는데.

“유레카관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중심의 전시장인데 국가 간 혁신경쟁을 하는 전시장이 돼가는 느낌이다. 경기도에서는 판교자율주행센터와 센터 입주 스타트업 일곱 곳이 참가해 자율주행 관련 데이터, AI, 사물인터넷(IoT), 센서, V2X통신, HD Map, 시뮬레이션 제품과 이를 통해 운영될 수 있는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전시했다. 경기도에서 조성한 자율주행 실증단지인 판교제로시티 역시 이번 CES에서 말하고 있는 초연결(5G) 지능형(AI) 스마트시티의 테스트베드로 함께 소개했다. 특히 비트센싱이란 기업의 트래픽 레이더는 레이더 센서에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교통정보수집 센서보다 다양한 기능 및 성능을 보이는 제품으로 혁신상을 받았다. 이 제품은 다수의 차량을 객체별로 검출, 추적할 수 있어 차량 위치와 이동 방향, 속도를 산출해낼 수 있다.”▷경기도의 4차 산업혁명 추진 콘셉트는 뭔가.

“경기도는 지난해 조직개편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실무적으로 총괄하는 미래성장정책관제를 신설했다. 이에 따라 첨단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대응하는 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첫 번째는 미래 성장의 방향과 속도를 제대로 읽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술 판타지를 넘어 실질적인 기술의 발전을 사회에 적용시키고 그 과정에서 기업들이 자유롭게 경쟁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공공기관으로서 미래 성장에 대한 경기도의 입장은 직접 혁신사업을 벌이기보다 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래 산업을 발굴, 지원하는 미래산업과,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과학기술과, 데이터의 확보와 지원을 담당하는 데이터정책과가 함께 일하고 있다.”

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