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로 '경제고립' 이란, 코로나19로 '외부 단절' 우려(종합2보)

이란 잇는 국경·항공편·해운 잇달아 중단
이란, 시아파 무슬림 '종교 허브'…성지순례 방문 잦아
전문가들 "미국 제재로 이란 의료체계 취약해져 사망자 많아"
미국의 경제 제재로 외부와 교역에 어려움을 겪는 이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의 또 다른 '진원'으로 떠오르면서 외부와 물리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동 여러 국가에서 이란에 다녀온 사람이 코로나19 확진자로 판명되자 이란을 연결하는 항공편, 해운 운항을 잇달아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전염병이 잦아들면 풀리게 될 한시적 위기지만 최대한 외부와 교류해 미국의 제재를 돌파해야 하는 이란으로서는 상당한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아랍에미리트(UAE) 민간항공청은 25일(현지시간) 낸 보도자료를 통해 "이란을 왕복하는 모든 항공 노선을 최소 1주일간 중단한다"라며 "여객기와 화물기가 모두 해당하고 기간이 연장될 수도 있다"라고 발표했다. UAE 보건 당국은 자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2명이 이란에서 여행 온 이란인 부부로 확인되면서 이런 이동 제한 조처를 했다.

현재 에미레이트항공, 플라이두바이, 에어아라비아 등 UAE 항공사와 이란항공, 마한항공, 게심항공 등 이란 항공사가 이란과 UAE 직항편을 운항한다.

이란과 교류가 잦은 쿠웨이트와 이라크 국영항공사는 21일 이미 이란행 항공편을 중단했고 아르메니아항공과 터키항공, 오만항공도 24일 이란 노선을 일시 멈췄다. 조지아 정부는 23일 이란과 자국을 오가는 모든 항공편을 일시 중지했다.

쿠웨이트는 이란에서 오는 선박의 입항도 금지했다.

폭이 좁은 호르무즈 해협을 오가는 소형 화물 선박이 많은 오만 카삽 항구도 26일부터 이란과 연관된 선박의 입출항을 일시 중지했다. 이란과 육로로 이어진 인접국도 잇따라 국경을 닫았다.

19일 이란에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처음 나오자 이라크, 쿠웨이트, 아르메니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터키 등이 이란과 통하는 국경 출입국 검문소를 폐쇄했다.

이들 국가는 이란과 육상 교역이 활발하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단기간에 통제되지 않으면 이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UAE와 오만, 바레인은 이란을 여행 금지국으로 지정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자국민은 물론 자국 내 거주 외국인도 이란 방문을 금지했다.

이라크도 25일 자국민을 제외하고 이란과 중국, 태국, 한국, 일본, 이탈리아, 싱가포르에서 직접 또는 경유한 기록이 있는 입국자를 무기한 금지하고 이들 7개국을 여행 금지국으로 정했다.

요르단은 24일 자국민을 제외한 이란발 입국자를 차단했다.

이란과 우호적인 카타르는 항공편 운항은 유지하되 이란에서 도착하는 입국자는 14일간 격리·관찰하기로 해 이란발 입국이 상당히 줄어들 전망이다.

이란과 인적·물적 교류가 가장 활발한 국가인 중국의 경우 지난달 코로나19가 중국 우한(武漢)을 중심으로 확산하자 이달 1일부터 이란 당국이 먼저 직항 노선을 중단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동 내 '연결망'도 경색되는 분위기다.

바레인의 국적항공사 걸프항공은 25일 UAE 두바이와 샤르자 항공노선 운항을 48시간 동안 중단했다.

바레인은 이란과 국교가 단절돼 직항편은 없지만 시아파 무슬림이 많아 UAE를 통해 이란의 시아파 성지를 방문하기 때문이다.

쿠웨이트도 이날부터 이라크를 오가는 모든 항공편을 잠정 중지했다.

중동에서는 레바논(21일), 쿠웨이트, 이라크, 바레인, 오만, 아프가니스탄(이상 24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확인됐고 이들은 모두 최근 이란에서 입국했다.

이란은 지리적으로도 중동과 서아시아, 중앙아시아를 잇는 요충지인데다 이슬람 시아파의 중심국이어서 인근 중동 국가의 시아파 무슬림이 성지순례와 신학 수업 등을 위해 찾는 '종교 허브'다.

이란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이 여러 나라에서 종교적 목적으로 찾는 곰이라는 점에서 '이란발 감염' 우려가 더 커지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제재로 이란의 의료 시스템이 취약해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미국 예일대의 천시 교수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미국 정부가 이란의 핵 개발을 이유로 경제제재를 가하면서 이란 경제와 의료보건 체계가 큰 타격을 입었다"며 "수십 년에 걸친 제재는 이란의 의료장비 부족을 악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가 50명당 1명꼴로 숨진 데 비해 이란은 5명당 1명이 숨진 것은 이란의 의료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중동 전문가는 "이란은 2015년 중동 국가들을 강타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유행 때도 큰 타격을 입지 않았던 국가"라며 "코로나19와 같은 대규모 전염병을 최근 겪은 적이 없어 대응 능력이 더 취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