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완치환자 조기퇴원·경증환자 자택격리' 결정할 때"
입력
수정
전문가들 "완치판정 앞당겨 조기 퇴원시키고 병상 순환율 높여야"
"경증환자 자가격리치료, 중증환자 전국단위 이송시스템 마련도 중요"
국내 확진자 1천500명을 넘어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려면 증상이 소멸한 완치 단계 환자를 조기에 퇴원시키고, 경증환자는 자가격리치료 방향으로 방역 대책을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하지만, 방역당국은 27일 밤늦게까지 전문가 회의를 열어 이런 안건을 논의했으나 최종 결정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의료계와 방역 당국에 따르면, 현재의 코로나19 환자 격리해제 지침은 증상이 없어진 뒤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한 두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와야 가능한 것으로 돼 있다.
격리해제가 이뤄진다고 해도 바로 퇴원하는 건 아니다.퇴원 여부에 대한 의료진의 추가적인 판단을 한 번 더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코로나19 환자가 퇴원하기까지는 평균 3주나 걸린다는 게 의료계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완치 환자의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신규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병실 순환율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다수의 코로나19 환자를 치료 중인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환자의 증상이 없어졌어도 5년 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당시의 완치 기준을 준용하느라 퇴원시킬 수가 없다"면서 "지역사회에서 환자 수가 급증하는 추세를 고려한다면 증상이 사라진 환자를 다른 병실에 입원시키거나 자가격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 역시 같은 입장이다.
방 센터장은 "지금까지는 아주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환자를 퇴원시켰지만, 이제는 (환자가) 호전되는 게 확인된다면 조금 빨리 퇴원시켜 자가격리 등 조치를 취하고, 이 환자보다 더 급한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방침을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경증환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집에 있고, 중증이면 2·3차 의료기관 찾고, 심각한 상태면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배정해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방지환 센터장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환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경증환자 치료와 관련된 결정이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면서 "어떤 식으로든 방역 당국이 조속히 방침을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증환자의 사망 위험을 줄이려면 전국을 하나로 묶는 중증환자 치료시스템을 강구해야 한다는 제안도 힘을 얻고 있다.김남중 교수는 "현재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증환자 발생이 많은데도 치료가 여의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환자를 치료하려면 감염, 호흡기, 증환자 전문 의료진의 협진이 필요한 만큼 대구·경북 지역에서 중환자가 발생했더라도 중증환자 치료가 가능한 전국 각지의 병원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경증환자 자가격리치료, 중증환자 전국단위 이송시스템 마련도 중요"
국내 확진자 1천500명을 넘어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려면 증상이 소멸한 완치 단계 환자를 조기에 퇴원시키고, 경증환자는 자가격리치료 방향으로 방역 대책을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하지만, 방역당국은 27일 밤늦게까지 전문가 회의를 열어 이런 안건을 논의했으나 최종 결정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의료계와 방역 당국에 따르면, 현재의 코로나19 환자 격리해제 지침은 증상이 없어진 뒤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한 두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와야 가능한 것으로 돼 있다.
격리해제가 이뤄진다고 해도 바로 퇴원하는 건 아니다.퇴원 여부에 대한 의료진의 추가적인 판단을 한 번 더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코로나19 환자가 퇴원하기까지는 평균 3주나 걸린다는 게 의료계의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완치 환자의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신규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병실 순환율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다수의 코로나19 환자를 치료 중인 김남중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금은 환자의 증상이 없어졌어도 5년 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당시의 완치 기준을 준용하느라 퇴원시킬 수가 없다"면서 "지역사회에서 환자 수가 급증하는 추세를 고려한다면 증상이 사라진 환자를 다른 병실에 입원시키거나 자가격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 운영센터장(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 역시 같은 입장이다.
방 센터장은 "지금까지는 아주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환자를 퇴원시켰지만, 이제는 (환자가) 호전되는 게 확인된다면 조금 빨리 퇴원시켜 자가격리 등 조치를 취하고, 이 환자보다 더 급한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방침을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경증환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증세가 가벼운 환자는 집에 있고, 중증이면 2·3차 의료기관 찾고, 심각한 상태면 인공호흡기 등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배정해 사망률을 낮추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방지환 센터장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환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경증환자 치료와 관련된 결정이 더는 미뤄져서는 안 된다"면서 "어떤 식으로든 방역 당국이 조속히 방침을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중증환자의 사망 위험을 줄이려면 전국을 하나로 묶는 중증환자 치료시스템을 강구해야 한다는 제안도 힘을 얻고 있다.김남중 교수는 "현재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증환자 발생이 많은데도 치료가 여의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환자를 치료하려면 감염, 호흡기, 증환자 전문 의료진의 협진이 필요한 만큼 대구·경북 지역에서 중환자가 발생했더라도 중증환자 치료가 가능한 전국 각지의 병원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