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일회용 보건 마스크 물량이 부족해진 가운데 정부가 보건용 마스크 재사용과 면마스크 활용을 재차 권고했다.
정부는 5일 임시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확정했다.
우선 마스크 원자재인 MB필터(멜트블로운 필터)의 효과가 유지되고 뚜렷한 오염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회용 마스크를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마스크 사용 개정 지침을 통해 보건용 마스크를 오염 우려가 적은 곳에서 일시적으로 썼다면 재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다만 동일인이 재사용해야 하며, 한번 사용한 마스크는 알코올 등으로 건조·소독·세탁하지 않고 환기가 잘되는 곳에 걸어 건조한 뒤 재사용하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정전기 필터를 장착한 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도 코로나19 예방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방침과 배치돼 논란이 예상된다.WHO는 '대중을 위한 코로나19 조언: 언제 어떻게 마스크를 써야 하나' 페이지를 통해 "마스크가 젖으면 즉시 교체하고 일회용 마스크를 재사용하지 말라"며 "일회용 마스크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 증상이 있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을 돌보는 경우가 아니면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지만, 의심자와 같은 방에 있을 때는 항상 마스크를 쓰라고 당부했다.
한국의 경우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5천300명을 넘겼고 인구가 몰린 수도권 등에서 지하철, 엘리베이터 등 밀폐된 장소를 이용할 경우가 많아 마스크 수요가 많은 편이다.정부는 공적 확보 대상이 아닌 마스크에 대해서도 특정 기업이나 단체가 독점하지 말아 달라고도 요청했다.
이번 대책에서는 마스크 생산량의 공적 의무공급 비율이 50%에서 80%로 상향 조정됐다.
하루 평균 생산량이 1천만장인 것을 고려하면 약 200만장은 약국·농협·우체국 등이 아닌 온·오프라인 판매처에서 팔리는 셈이다.
이 물량을 몇몇 기업이나 단체가 독점하지 말라는 것이 정부의 권고사항이다.정부는 "마스크 생산능력과 국민 수요 간의 격차를 줄이려면 합리적이고 상호 배려하는 소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