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한국노총 '총선 연대'…공동 선대기구 구성
입력
수정
지면A10
'5대 비전' 정책 협약
1년 미만 근속 노동자
퇴직급여 보장·ILO협약 비준 등
한국노총 요구 총선 공약으로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평가 앞에 한배를 타고 온 파트너인 한국노총 또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은 총선에서 민주당 후보에 대한 공식 지지 입장을 밝혔다. 대신 민주당은 한국노총과의 ‘5대 비전과 20대 공동 약속’을 통해 노동계가 요구해온 현안을 대거 총선 공약에 포함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으론 △‘5인 미만’ 사업체 종사 노동자(588만 명)의 노동관계법상 권리 보장 △1년 미만 근속 노동자(497만 명) 퇴직 급여 보장 △플랫폼노동자·특수고용노동자의 사회 보장과 노조를 만들 권리 보장 △국제노동기구(ILO) 기본협약(핵심협약) 비준 추진 △노동자의 임금권리 보장을 위한 ‘임금분포공시제’ 도입 △정리해고 요건 강화 등이다.
1년 미만 근속 노동자에 대한 퇴직 급여 보장은 단기 근속자를 주로 쓰는 자영업자 등 영세사업자들에게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현행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은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에게만 퇴직급여를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태희 중소기업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영세사업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5인 미만 사업체 노동자에 대한 노동법 보장은 민주당이 2018년 한국노총을 최저임금위원회 등 노·사·정 대화기구에 복귀시키면서 약속한 것이기도 하다. 당시에도 오히려 영세사업자들이 채용을 꺼려 고용 축소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ILO 핵심협약 비준도 경제계가 강력히 반대하는 사안이다. ILO 핵심협약은 △결사의 자유 △강제 노동 금지 △아동 노동 금지 △균등 대우 등 네 개 분야의 여덟 개 협약을 말한다. 한국은 이 가운데 결사의 자유와 단결권을 규정한 87·98호, 강제 노동을 금지한 29·105호를 비준하지 않고 있다. 해고자와 실업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하고, 5급 이상 공무원과 퇴직 공무원·교원 등의 노조 조직 및 가입을 허용하는 게 핵심이다. 법 개정이 필요하지만 야당의 극심한 반발에 20대 국회에선 사실상 통과가 물 건너갔다.
‘임금분포공시제’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노사 갈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임금분포공시제는 고용 형태, 성별뿐 아니라 직종·직급·직무별 임금 분포 등을 공시하는 것을 말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투명한 임금 공개를 통해 노동시장 내 공정한 임금체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이창수 미래통합당 대변인은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들이 자칫 표를 의식한 민주당의 설익은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 정책으로 더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