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 한중 카페리 30년 만에 '최대 위기'
입력
수정
지난해 200만명 최대치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국제카페리 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운항 30년 만에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사드 때보다 여파 커
한중 합작회사 지원 위해선 정부 특단의 결정 필요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중 정기 카페리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지난 1월28일 이후 여객 운송을 전면 중단하고 컨테이너 화물만 수송하고 있다. 한중 카페리는 인천에 10개, 평택에 5개, 군산에 1개 항로가 각각 개설돼 있다. 컨테이너 수송은 한중 카페리 선사들의 총매출의 70%를 차지한다. 하지만 회사 현금 유동성에서 중요 부분을 차지하는 여객 운송 수입이 2개월 가까이 끊기면서 자금 압박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카페리 선사들은 인건비를 줄여 버티고 있다. 여객 업무 분야는 현재 최소 인력만 근무하고 있다. 연차 휴가를 소진한 직원들은 급여의 일부만 받는 유급 휴직을 교대로 하고 있다. 하지만 여객 운송 중단이 장기화하면 무급 휴직까지 해야 할 것으로 점쳐진다.
업계에선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1990년 9월 한중 카페리 운항 이후 최악의 위기 상황으로 보고 있다. 앞서 사드 갈등 때보다 여파가 크다는 지적이다. 한중 카페리 여객은 지난 2011년 171만명까지 늘었지만, 한중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이 심했던 2017년 126만명까지 떨어졌다. 이후 사드 갈등이 완화되면서 2018년 149만명으로 회복했다. 지난해엔 역대 최대인 200만명을 기록했다.정부는 카페리 선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지원책으로 항만시설 사용료와 여객터미널 사무실 임대료 감면을 결정했다.
한편, 한중 카페리는 양국의 교류에 물꼬를 텄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한중 카페리는 중국에 공산당 정부가 들어선 1949년 이후 단절됐던 서해 뱃길을 41년 만에 다시 연결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