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휘청이는 한국 증시, 정부 대책은…공매도 금지 기대

한은 긴급 '금리 인하' 가능성도
금융당국 "다양한 방안 검토 중"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충격에 12일 코스피가 장중 5% 이상 폭락하면서 전 거래일보다 73.94포인트 떨어진 1834.33에 거래를 마쳤다.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금융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공포에 연일 폭락하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우리 정부의 증시 안정화 대응책에 집중된다. 한시적 공매도 금지와 연기금 동원, 한국은행의 긴급 기준금리 인하 등이 거론된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은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달 1월20일부터 12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6105억원 가량의 주식을 사들였다. 지난 2일부터는 9거래일 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순매수 행진을 이어갔다. 국내 증시는 연일 폭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서도 연기금이 순매수세를 이어가며 지수 방어에 나섰다는 의미다.금융위원회는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단계별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를 마련하고 실행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지난 10일 첫 번째 카드로 공매도 과열종목을 확대 지정하는 규제안을 내놨지만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이에 두 번째로 연기금 동원 카드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연기금 투자 포트폴리오에 국내 주식 비중을 늘리는 것이다.

연기금이 투입될 경우 증시 적극적인 매수세를 통한 단기 증시부양 효과가 나올 수 있다. 외국인 투매 물량을 연기금이 받으면서 시장을 떠받치는 모양새를 연출할 수 있다는 기대다. 금융위는 지난 9일 코스피가 4%대 급락하자 연기금을 제외한 금융사 기관투자자에게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이에 기관들이 다음날(10일) 유가증권시장에서6112억원 가량의 주식을 순매수하며 코스피지수는 0.42% 상승했다.

한시적 공매도 금지도 유력한 방안이다. 금융당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남유럽 재정위기 발생 당시 공매도 금지 조치를 시행한 경험이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전체 종목에 대한 공매도 금지안을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매도 금지를 주장하는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목소리도 계속되고 있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날 "시장 전체에 대한 한시적 공매도 금지를 통해 주가 변동성을 낮춰야 한다"고 했고, 개인 투자자 권인보호단체인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는 전날 성명서를 내고 "지금이라도 한시적 공매도 금지를 추진해 개인 투자자 피해를 조금이라도 막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국은행의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개최에 따른 긴급 기준금리 인하도 대응책으로 거론된다. 앞서 미국과 영국 등은 정례회의와 별도로 긴급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긴급 금리인하에 나섰다. 한국은행도 이달 말 긴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은은 2003년 사스, 2015년 메르스 당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췄다.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려 유동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전날 '코로나19 극복방안 긴급 건의'를 통해 한은의 금리인하를 촉구했고,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지난 5일 국회 정책조정회의에서 "통화당국의 적절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금리인하를 우회적으로 요구했다.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인하는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많다. 다만 이달 말 임시 금통위를 소집해 긴급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미국과 같이 임시 금통위를 소집해 긴급 금리 인하를 단행할 여지는 제한적"이라며 "한은은 지난 달 기준금리 동결에도 금융중개 대출한도 확대 등을 대응책을 내놨고 대응 방안을 금리보다는 '금융안정'에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