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화되는 자금시장 경색…우량 기업 흑자도산은 막아야
입력
수정
지면A35
자금시장이 급속도로 경색되고 있다. 신용등급이 최상위(AAA)인 하나은행이 후순위채권 발행을 위해 했던 수요예측이 발행예정 물량에 미달했다. 후순위채라고 해도 AA 등급인 은행의 채권도 발행이 버거울 정도로 채권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회사채 발행에 어려움을 겪는 곳은 하나은행만이 아니다.
코로나19로 비롯된 글로벌 금융쇼크로 인해 국내에서도 ‘현금 확보·집중 현상’이 뚜렷하다. 금과 국채 같은 전통적 안전자산까지 급락세를 보일 정도로 시장의 불안감과 공포심리가 한껏 팽창하고 있는 위기 국면이다. ‘코로나 위기’가 그만큼 금융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다는 얘기일 것이다.시장의 공포심리를 인위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한계는 있지만, 자금 경색이 더 심화돼서는 안 된다. ‘코로나 쇼크’라는 예측 못한 변수 때문에 갑자기 어려움에 봉착한 기업과 사업자들을 어떻게든 최대한 살려내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경제가 악순환의 덫에 빠지지 않도록 정부와 금융·산업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크고 작은 위기 때마다 되풀이돼온 “흑자도산은 막아야 한다”는 절규와 호소가 이번에는 더 크게 들리고 있다.
무엇보다 우량 중소기업이 일시적 판매난·자금난 때문에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데 정책적 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정부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의 자금지원 공조와 더불어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환경부 같은 규제 기관이 이럴 때 진짜 도움이 되는 행정지원에 나서야 한다. 코로나 충격은 산업 전 방위로 예외 없이 퍼질 것이다. 자금지원이든 규제완화든 정책 지원을 하겠다면 신속하고 과감한 집행이 관건이 될 것이다. 금융회사들도 ‘눈앞의 리스크 관리’와 ‘장기고객 확보, 영업기반 확대’라는 딜레마 상황에서 합리적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 시계(視界)가 어둡고 좁아지지만, ‘코로나 이후’까지를 내다보는 안목과 지혜가 민관 모두에게 절실하다.
코로나19로 비롯된 글로벌 금융쇼크로 인해 국내에서도 ‘현금 확보·집중 현상’이 뚜렷하다. 금과 국채 같은 전통적 안전자산까지 급락세를 보일 정도로 시장의 불안감과 공포심리가 한껏 팽창하고 있는 위기 국면이다. ‘코로나 위기’가 그만큼 금융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하다는 얘기일 것이다.시장의 공포심리를 인위적으로 풀어나가는 데 한계는 있지만, 자금 경색이 더 심화돼서는 안 된다. ‘코로나 쇼크’라는 예측 못한 변수 때문에 갑자기 어려움에 봉착한 기업과 사업자들을 어떻게든 최대한 살려내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경제가 악순환의 덫에 빠지지 않도록 정부와 금융·산업계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 크고 작은 위기 때마다 되풀이돼온 “흑자도산은 막아야 한다”는 절규와 호소가 이번에는 더 크게 들리고 있다.
무엇보다 우량 중소기업이 일시적 판매난·자금난 때문에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데 정책적 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정부 금융당국과 한국은행의 자금지원 공조와 더불어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환경부 같은 규제 기관이 이럴 때 진짜 도움이 되는 행정지원에 나서야 한다. 코로나 충격은 산업 전 방위로 예외 없이 퍼질 것이다. 자금지원이든 규제완화든 정책 지원을 하겠다면 신속하고 과감한 집행이 관건이 될 것이다. 금융회사들도 ‘눈앞의 리스크 관리’와 ‘장기고객 확보, 영업기반 확대’라는 딜레마 상황에서 합리적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 시계(視界)가 어둡고 좁아지지만, ‘코로나 이후’까지를 내다보는 안목과 지혜가 민관 모두에게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