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서면으로 해고 통보없었다면, 수당 받고 타사 취직했어도 무효"
입력
수정
해고 통지를 서면이 아닌 말로만 했다면 이후 근로자가 수당까지 받고 다른 회사에 취직했더라도 부당해고에 해당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 (부장판사 장낙원)는 한 법인 대표이사의 수행기사로 근무하던 A씨가 "부당해고 구제 재심 판정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A씨는 2018년 9월 수행기사로 일한 지 한 달 만에 대표이사로부터 "오늘까지만 일하고 퇴직처리 하자"는 말을 들었다. A씨는 해고 예고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노동청에 진정을 넣고 다른 회사에 입사했다. 이후 법인은 A씨에게 퇴직위로금 340여만원을 지급했고 A씨는 진정을 취하했다. 하지만 한 달반 후 A씨는 부당해고를 이유로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냈다. 지방노동위는 A씨의 구제신청을 용인했으나 중앙노동위가 뒤집었고 이에 A씨가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근로자에 대한 해고는 해고 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해야 한다"며 "A씨에게 구두로 통지했을 뿐이니 그 해고는 효력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어 "법인은 A씨의 의사에 반해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했다"며 "A씨가 타사에 입사했다 하더라도 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함이지 해고에 합의했다는 뜻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 (부장판사 장낙원)는 한 법인 대표이사의 수행기사로 근무하던 A씨가 "부당해고 구제 재심 판정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A씨는 2018년 9월 수행기사로 일한 지 한 달 만에 대표이사로부터 "오늘까지만 일하고 퇴직처리 하자"는 말을 들었다. A씨는 해고 예고수당을 지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노동청에 진정을 넣고 다른 회사에 입사했다. 이후 법인은 A씨에게 퇴직위로금 340여만원을 지급했고 A씨는 진정을 취하했다. 하지만 한 달반 후 A씨는 부당해고를 이유로 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냈다. 지방노동위는 A씨의 구제신청을 용인했으나 중앙노동위가 뒤집었고 이에 A씨가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근로자에 대한 해고는 해고 사유 등을 서면으로 통지해야 한다"며 "A씨에게 구두로 통지했을 뿐이니 그 해고는 효력이 없다"고 판단했다. 이어 "법인은 A씨의 의사에 반해 일방적으로 근로관계를 종료했다"며 "A씨가 타사에 입사했다 하더라도 이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함이지 해고에 합의했다는 뜻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