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브리핑' 100회가 남긴 것

현장에서

복지부-질본 '우왕좌왕'했지만
하루 두차례 소통 원칙 지키며
신속·투명 시스템 구축 '긍정 평가'

노경목 경제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국내에 확산한 지난달 중순 이후 공중파와 보도전문 채널은 하루 두 차례 노란색 잠바를 입은 정부 관계자가 화면을 가득 채운다. 오전 11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오후 2시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브리핑이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주로 등장하는 방대본 브리핑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이,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이 나서는 중대본 브리핑은 정부 대응이 중심이 된다.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월 29일부터 나란히 정기 브리핑을 시작했다. 두 부처의 브리핑 누적 횟수는 18일 기준 100회를 기록했다. 그 사이 정 본부장의 흰머리가 눈에 띄게 늘고, 김 차관의 입술은 부르텄다. 이제 두 브리핑은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이는 정부의 대국민 소통 창구가 됐다.기자 질의응답까지 합해 1시간 안팎에 걸친 브리핑이 50일간 매일 두 차례 이뤄지며 정제되지 않은 발언이나 부처 간 이견이 그대로 드러나기도 했다. “겨울이라 모기가 없다”는 박능후 복지부 장관의 발언도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왔다. 특히 총선을 코앞에 두고 당국자가 매일 기자들을 마주한다는 것은 힘든 결정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정직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금언은 이번에도 들어맞았다. 신속성과 투명성을 목표로 하는 정부 브리핑이 기업 경영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최명화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예상치 못한 위기에 직면한 기업은 3·3·3법칙(문제 발생 3시간 이내 공개, 3일 이내 대책 발표, 3개월 이내 평가 및 정책 전환)에 따라 대응해야 한다”며 “매일 두 차례에 걸친 정부 브리핑은 의도했든, 그렇지 않았든 이 같은 원칙을 지킨 모범적인 사례가 됐다”고 평가했다.코로나19와 관련한 소통 노력과 시스템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거치며 가다듬어졌다. 당시 감염자 병원과 사망자 발생 사실 등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아 정부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고 유언비어가 확산됐다.

정부 브리핑은 단순히 정부 대응 상황을 알리는 것을 넘어 코로나19 전파 차단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김 차관은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일상생활의 불편을 국민이 감수하지 않고 정부 노력만으로 코로나19를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정보의 투명하고 신속한 공개는 국민의 행동을 끌어내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