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주는 숲, 우리 산림의 공익적 가치 221조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221조원(2018년 기준)에 달한다고 1일 발표했다.

이는 국민 1인당 연간 428만원의 공익적 혜택을 받는 셈이다.지난 조사인 2014년의 기준 평가액 126조원(국민 1인당 249만원)에서 95조원(약 76%)이 늘었다.

국내총생산(GDP) 1893조원의 11.7%에 해당하며 농림어업 총생산의 6.4배(34조5000억원), 임업 총생산의 92.6배(2조4000억원), 산림청 예산(2조원)의 108배에 달한다.

공익적 가치를 부문별로 보면 온실가스흡수·저장기능이 75조6000억원으로 총 평가액 중 가장 높은 34.2%를 차지했다.이어 산림경관제공 기능 28조4000억원(12.8%), 토사유출방지 기능 23조5000억원(10.6%), 산림휴양 기능이 18조4000억원(8.3%) 순이다.

이밖에 산림정수 기능 13조6000억원(6.1%), 산소생산기능 13조1000억원(5.9%), 생물다양성보전 기능 10조2000억원(4.6%), 토사붕괴방지 기능 8조1000억원(3.7%), 대기질개선 기능 5조9000억원(2.7%), 산림치유 기능 5조2000억원(2.3%), 열섬완화 기능이 8000억원(0.4%) 등이었다.

산림청 관계자는 “2014년 대비 입목의 부피가 증가하고, 각종 대체비용 상승 등으로 대부분 증가했으나 산소생산 기능, 대기질 개선 및 열섬완화 기능 등의 평가액은 감소했다”고 말했다.
산소생산 기능 평가액 감소의 원인은 임령(나무나이)의 증가로 순입목생장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며, 대기질개선 기능 평가액 감소는 대기 내 오염물질 농도가 낮아지면서 임목의 오염물질 흡수량이 동시에 감소한 현상이 반영된 결과라고 산림청은 분석했다.

도시림의 증가로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은 증가했지만 전기의 시장판매가격 하락으로 인해 열섬완화 기능의 평가액은 다소 감소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평가를 목재생산기능을 제외한 5대 기능인 △수원함양·정수기능 △산림재해방지기능 △생활환경보전기능 △산림휴양·치유기능 △자연환경보전기능으로 평가했고 이를 다시 12개 기능으로 세분화 해 분석했다.
이번 조사부터는 기존 평가에서 다루지 않았던 ‘입목 및 산림토양의 탄소저장 기능’ 항목을 새롭게 추가, 평가액이 크게 증가했다.

세계식량농업기구(FAO)는 2015년 세계산림자원평가에서 산림의 탄소축적을 공식 통계로 포함했고 올해는 산림토양이 저장하고 있는 탄소축적을 포함할 계획이다.

전범권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산림의 공익기능은 1970년대 이후 국민과 함께 심고 잘 가꾼 산림이 우리에게 주는 행복한 선물”이라며 “앞으로도 산림자원 순환경제를 구축해 국민에게 더 좋은 공익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