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發 식량대란 경고…농업혁신 서두를 이유 더 분명해졌다
입력
수정
지면A35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가 각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인적·물적 교류를 차단하면서 4~5월 글로벌 식량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제 신용평가회사 피치그룹 산하 시장조사업체인 피치솔루션스는 식량위기가 현실화할 경우 가장 타격을 받을 국가(지역)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과 일본, 중동 등을 꼽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위기에 이어 식량위기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할 상황이다.
FAO의 경고를 뒷받침하듯이 곡물 수출제한에 나서는 국가가 늘고 있다. 베트남이 지난달 24일부터 쌀 수출을 중단한 데 이어, 캄보디아도 오는 5일부터 쌀 수출을 차단키로 했다. 태국은 계란 수출을 금지했고, 러시아는 모든 곡물 수출을 임시로 제한하는 조치를 내렸다. 카자흐스탄 등 다른 나라들도 잇따라 수출 제한에 가세하고 있다. 물류망 붕괴에 수출 제한이 더해지면 사재기 등 일대 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FAO는 글로벌 식량 조달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주문했다. 하지만 위기 시 각국이 자국민 우선주의로 돌아서면 국제 공조를 기대하기 어렵다. 자구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식량 비축과 조달체계를 긴급 점검하는 등 만일에 대비해야 한다. 식량대란 경고가 이번 한 번에 그칠 일이 아닌 만큼 근본대책도 세워야 한다. 농업의 혁신이 그것이다.
지금의 쌀 중심, 소규모 전통 농업으로는 위기에 대처할 수 없다. 소비 변화 추세에 맞게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제고와 함께 곡물 다양화 노력이 절실하다. 농업에서 창업이 일어나고 첨단기술과 자본 유입이 활발해지면 못 해낼 것도 없다.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
식량위기는 식량의 절대 부족이 아니라 유통이 막히는 데서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선진국 기업들이 세계 곡물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해외에 곡물 터미널을 준공해 가동에 들어간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판 카길(세계 곡물 메이저 1위)이 되겠다는 하림그룹 같은 기업이 더 많이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 농업을 첨단산업으로 키우면 가능한 일이다. 농업혁신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
FAO의 경고를 뒷받침하듯이 곡물 수출제한에 나서는 국가가 늘고 있다. 베트남이 지난달 24일부터 쌀 수출을 중단한 데 이어, 캄보디아도 오는 5일부터 쌀 수출을 차단키로 했다. 태국은 계란 수출을 금지했고, 러시아는 모든 곡물 수출을 임시로 제한하는 조치를 내렸다. 카자흐스탄 등 다른 나라들도 잇따라 수출 제한에 가세하고 있다. 물류망 붕괴에 수출 제한이 더해지면 사재기 등 일대 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FAO는 글로벌 식량 조달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주문했다. 하지만 위기 시 각국이 자국민 우선주의로 돌아서면 국제 공조를 기대하기 어렵다. 자구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식량 비축과 조달체계를 긴급 점검하는 등 만일에 대비해야 한다. 식량대란 경고가 이번 한 번에 그칠 일이 아닌 만큼 근본대책도 세워야 한다. 농업의 혁신이 그것이다.
지금의 쌀 중심, 소규모 전통 농업으로는 위기에 대처할 수 없다. 소비 변화 추세에 맞게 고부가가치화, 생산성 제고와 함께 곡물 다양화 노력이 절실하다. 농업에서 창업이 일어나고 첨단기술과 자본 유입이 활발해지면 못 해낼 것도 없다. 혁신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
식량위기는 식량의 절대 부족이 아니라 유통이 막히는 데서 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선진국 기업들이 세계 곡물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해외에 곡물 터미널을 준공해 가동에 들어간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판 카길(세계 곡물 메이저 1위)이 되겠다는 하림그룹 같은 기업이 더 많이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 농업을 첨단산업으로 키우면 가능한 일이다. 농업혁신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