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폭발적 감염 한국서도 나타날 수 있어…엄중한 상황"
입력
수정
김강립 중대본 총괄조정관 "해외 유입·지역 내 잠복 감염자 관리가 중요"
"사회적 거리두기, 2차 감염 차단 효과…2주 연장에 동참해 좋은 결과 내야"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 아래로 줄었지만 정부는 여전히 확진자의 폭발적 증가 가능성을 언급하며 방역에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유럽이나 미국에서 보이는 폭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우리 사회에서도 언제든 나타날 수 있다"며 "이 경우 의료체계의 붕괴, 사망률 급증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남아있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우리는 지난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층 더 강화해 실천했지만, 매일 100명 내외의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등 아직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김 총괄조정관에 따르면 교회, 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한 산발적인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해외 유입 사례도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3월 말부터 검역단계에서 일 20~30명 정도의 확진자가 발견되고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경우까지 합치면 해외유입사례는 일 신규 확진자 수의 30~50%를 차지한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도 신규 확진자 수의 5~1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이는 방역당국이 파악하고 있지 못한 감염자가 지역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중 '해외 유입사례'와 '지역 내 잠복 감염자'를 현재 방역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방역망 통제 밖의 확진자가 교회나 병원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발생한다면 대규모 집단감염이 초래되는 것은 물론이고 2차, 3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이어 "두 위험 요인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은 '사회적 거리두기'"라면서 "2차 감염을 차단하고, (감염의) 유행 고리를 끊어주는 효과가 있어 세계 각국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당초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으로 정하고 시설 운영중단, 약속·모임·여행 연기, 재택근무를 동시에 유도해 왔다.
그러나 2주간의 시행에도 확진자 수가 쉽게 줄어들지 않자 정부는 거리두기 기간을 19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그러나 거리두기 시행 기간이 길어지면서 관련 수칙을 위반하는 사례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김 총괄조정관은 "계속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피로감을 느끼는 국민들이 늘어나면서 지난 2주간 오히려 국민 참여가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하며 "우리가 더 적극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했다면 지금보다 더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소규모 교회에서도 온라인 예배를 진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행정적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관리체계를 더 강화하는 것과 처벌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신규 확진자 수를 일 평균 50명 이하로 줄이게 되면 일상·경제생활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으로 방역 체계를 전환할 방침이다.
생활방역은 방역 수준을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도 방역지침을 준수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김 총괄조정관은 "정부가 전문가들과 함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과 아이디어를 제시하겠지만 이를 완성하는 데 국민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생활방역 수칙은 우리가 앞으로 감당하고 익혀야 할 새로운 사회적 규범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생활방역 규범은 실천해야만 효과를 낼 수가 있기 때문에, 수칙에는 이런 규범을 어떻게 공유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준비에 대한 내용도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 2차 감염 차단 효과…2주 연장에 동참해 좋은 결과 내야"
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 아래로 줄었지만 정부는 여전히 확진자의 폭발적 증가 가능성을 언급하며 방역에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유럽이나 미국에서 보이는 폭발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우리 사회에서도 언제든 나타날 수 있다"며 "이 경우 의료체계의 붕괴, 사망률 급증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남아있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김 총괄조정관은 "우리는 지난 2주간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층 더 강화해 실천했지만, 매일 100명 내외의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등 아직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김 총괄조정관에 따르면 교회, 병원 등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한 산발적인 집단감염 사례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해외 유입 사례도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
3월 말부터 검역단계에서 일 20~30명 정도의 확진자가 발견되고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경우까지 합치면 해외유입사례는 일 신규 확진자 수의 30~50%를 차지한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도 신규 확진자 수의 5~1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이는 방역당국이 파악하고 있지 못한 감염자가 지역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중 '해외 유입사례'와 '지역 내 잠복 감염자'를 현재 방역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방역망 통제 밖의 확진자가 교회나 병원 같은 다중이용시설에서 발생한다면 대규모 집단감염이 초래되는 것은 물론이고 2차, 3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이어 "두 위험 요인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은 '사회적 거리두기'"라면서 "2차 감염을 차단하고, (감염의) 유행 고리를 끊어주는 효과가 있어 세계 각국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당초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으로 정하고 시설 운영중단, 약속·모임·여행 연기, 재택근무를 동시에 유도해 왔다.
그러나 2주간의 시행에도 확진자 수가 쉽게 줄어들지 않자 정부는 거리두기 기간을 19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그러나 거리두기 시행 기간이 길어지면서 관련 수칙을 위반하는 사례도 속속 발견되고 있다.
김 총괄조정관은 "계속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피로감을 느끼는 국민들이 늘어나면서 지난 2주간 오히려 국민 참여가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하며 "우리가 더 적극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했다면 지금보다 더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소규모 교회에서도 온라인 예배를 진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행정적 지원 방안을 논의하고 있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관리체계를 더 강화하는 것과 처벌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신규 확진자 수를 일 평균 50명 이하로 줄이게 되면 일상·경제생활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으로 방역 체계를 전환할 방침이다.
생활방역은 방역 수준을 완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도 방역지침을 준수하도록 하는 개념이다.
김 총괄조정관은 "정부가 전문가들과 함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과 아이디어를 제시하겠지만 이를 완성하는 데 국민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생활방역 수칙은 우리가 앞으로 감당하고 익혀야 할 새로운 사회적 규범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생활방역 규범은 실천해야만 효과를 낼 수가 있기 때문에, 수칙에는 이런 규범을 어떻게 공유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준비에 대한 내용도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