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대신 전화 주문…치킨집 사장님은 행복할까?

현장에서

"전화 주문땐 앱수수료 없지만
오토바이 배달 수수료는 내야
주문 받으려면 새 직원도 필요"

김보라 생활경제부 기자
소상공인과 배달의민족 운영업체인 우아한형제들 간에 수수료 인상 문제가 불거지자 ‘저격수’를 자처하고 나선 이재명 경기지사가 7일 “공공 앱이 개발되기 전까지 배달 앱이 아니라 전화로 주문하자”고 나섰다.

이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수수료 횡포를 부리는 배달 앱 대신 전화로 음식을 주문해 소비자와 국민이 무섭다는 걸 보여 달라”고 썼다. 또 전화로 주문받은 점주들은 소비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전화 주문을 유도할 것을 제안했다. 일부 소비자는 ‘배달의민족 탈퇴 인증’과 ‘배달의민족 앱 삭제’ 등으로 이에 호응하고 있다.하지만 정작 외식업계 현장 사장님들의 반응은 영판 다르다. “말도 안되는 소리”며 손사래를 치고 있다. 왜 그럴까. 일도 힘들어지고 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배달의민족 등 주요 배달 앱은 복잡하고 많은 일을 간단하게 처리해주고 있다. 소비자가 앱을 통해 음식 주문을 하면 각 점포로 주문 내역과 배송 주소가 뜬다. ‘일회용품을 빼달라’거나 ‘특정 양념은 빼달라’는 등의 세부 주문 내역도 전달된다. 배달대행 업체도 자동으로 연결해준다.

이걸 일일이 전화 주문을 받아 처리한다고? 동네 사장님들은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며 고개를 젓는다. 홀 매장 없이 배달에 50% 이상 의존하는 영세한 분식집이나 치킨집 등이 더하다. 서울 서대문구에서 김밥 등 분식을 배달하는 한 점주는 “주소와 전화번호, 주문 건별 까다로운 옵션까지 어떻게 다 손으로 적느냐”며 “어제도 전화로 주문받다 날 샐 뻔했다”고 말했다. “갈수록 소비자의 요구는 까다로워지는데 전화로 주문을 받아 적으려면 직원이 최소 두 명은 더 있어야 한다”는 점주도 있다.

소비자에게 인센티브를 돌려주자는 것도 황당한 생각이라는 반응이다. 배달원을 직접 고용하는 외식업체는 10% 미만이다. 대다수가 부릉, 생각대로 등 배달대행업체를 쓴다. 거리마다 요금 체계가 달라져 배달 요금은 2000~6000원이 나온다. 사장님들에겐 배달 앱 수수료보다 배달 대행료가 더 큰 부담이었다.지금까지 이 배달료를 소비자와 점주가 나눠 부담해 왔다. 전화 주문을 한 사람에게 요금 할인이나 서비스 등의 혜택을 주라는 것은 사업자에게 수익을 포기하라는 이야기나 다름없다는 게 현장의 얘기다. 한 점주는 “정치권이 나서 사업자의 수익까지 좌지우지하려 하느냐”고 혀를 찼다.

이철 아주대 E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독과점 가격인상 등의 구조적 문제가 있다면 법적 검토를 해야 한다”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정치권이 나서 땜질처방을 남발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지난 4일 배민이 수수료 부과 방식을 변경하자 ‘독과점의 횡포’라고 비판한 데 이어 6일에는 관련 대책 회의를 열고 공공 배달 앱 개발 방안을 밝혔다.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