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팔아 현금 챙기는 기업들…2월 이후 '건물·토지·설비' 매각액 1.3조
입력
수정
지면A5
코로나 쇼크로 자금시장 '꽁꽁'지난 두 달간 기업들의 자산 매각액이 1조3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자금시장이 얼어붙자 기업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건물, 토지, 기계 설비 등 보유자산 매각에 나선 것이다. 산업계에선 경기침체가 장기화할수록 기업들의 ‘현금 챙기기’ 움직임이 뚜렷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기업까지 유동성 확보 나서
이마트, 서울 마곡동 부지 매각
LG하우시스도 울산 사택 팔아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난 2월 이후 이날까지 ‘재무구조 개선’ 목적의 ‘유형자산 처분’ 공시 건수는 총 14건이다. 처분 금액은 1조2576억원이다. 작년 같은 기간 공시 건수는 2건, 매각액은 629억원에 그쳤다. 유형자산 처분 공시는 자산총액의 5%(총자산 2조원 이상 대규모 법인은 2.5%, 코스닥 상장사는 10%) 이상의 토지, 건물 등을 매각할 때 투자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자산 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 서울 마곡동 업무용지 내 토지 및 건물을 8158억원에 처분한 이마트가 대표 사례다. 이마트는 마곡 업무용지에 복합 쇼핑몰 ‘스타필드’를 열 예정이었지만 재무건전성 강화와 유동성 확보를 위해 부동산 매각을 결정했다. 이마트는 “일부 면적을 임차해 창고형 할인점을 여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설명했다.
LG그룹 소속 산업자재 업체 LG하우시스는 ‘자산 효율화’ 목적으로 2월 11일 울산 사택을 630억원에 팔았고, 코오롱머티리얼은 경북 김천 공장에 있는 기계설비를 씨지주택에 넘기고 130억원을 확보했다.경기 악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매각 계약이 엎어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2월 서울 논현동 성암빌딩을 1600억원에 팔기로 했지만 인수자인 한양건설이 지난달 2일 돌연 매입 철회 의사를 밝혔다. 세원셀론텍도 지난달 31일 에코스텔라에너지에 전북 군산에 있는 토지, 건물, 기계장치 등을 270억원에 매각할 예정이었지만 매수자가 잔금을 납입하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계약금 10억원은 회사에 귀속된다”며 “새로운 매수인을 선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자금조달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업들의 자산 매각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월 회사채 발행액은 5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7조3000억원 줄었다. 한 경제단체 고위관계자는 “한계 기업들이 현금을 구할 수 있는 길은 자산 매각밖에 없다”며 “경기침체가 길어질수록 건물 등을 처분하는 기업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