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3월 증시에서 13조5000억원 내던져…금융위기보다 많아
입력
수정
2007년 통계 집계 후 최대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자금은 3월 국내 주식시장에서 110억4000만달러 순유출했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7년 1월 이후 최대 규모다.지난달 월평균 원·달러 환율(1220.23원)을 적용하면 약 13조5000억원어치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반면 채권시장에서는 차익거래유인 확대 등으로 외국인 투자금 36억6000만달러(약 4조5000억원)가 순유입됐다. 2월 말 연 1.33%였던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8일 기준으로 1.51%까지 올랐다.통상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하락해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 그러나 외국인은 달러를 원화로 바꿔 투자하는 과정에서 나는 이익을 기대하고 한국 채권을 매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과 채권을 합한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3월 중 73억7000만달러(약 9조원) 순유출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직격탄을 맞았던 2008년 10월(75억5000만달러) 이후 최대 규모의 순유출이다.
국가 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지표도 올랐다.한국 국채(외국환평형기금채) 5년물의 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월평균 0.43%포인트로, 전월 대비 0.1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연평균 CDS 프리미엄(0.31%포인트)보다 높고 2018년(0.44%포인트)과 비슷한 수치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