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출구가 안보인다"…산유국 감산 합의돼도 영향 미미
입력
수정
1분기 초유의 실적쇼크 예상…코로나-저유가-정제마진 복합충격
정유4사 적자 2조5천억원대…불황 장기화에 경영 비상
국내 정유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과 국제유가 폭락, 정제마진 악화 등 삼중고에 시달리며 사상 초유의 실적 쇼크에 직면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 반등할 수 있다는 일부 기대감도 있긴 하지만, 정제마진 악화와 코로나 영향에 따른 '수요절벽'이 워낙 심각해 "출구가 안보인다"는 업계의 우려가 크다.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실적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12일 업계 등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의 1분기 영업적자가 2조5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정유업계에서는 셰일가스 패권을 둘러싸고 산유국들 간 '가격전쟁'이 있었던 2014년의 4분기 실적이 최악이라고 평가해왔다.
당시 정유4사 영업손실이 1조1천50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당시 수치를 훨씬 웃도는 사상 최악일 것으로 점쳐진다. 2분기 역시 조 단위 적자를 이어가며 올해 2014년 이후 6년 만에 연간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정유사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은 나날이 악화하고 있다.
정제마진은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 비용을 뺀 것으로, 통상 배럴당 4∼5달러여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부터 정제마진 수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고 있고,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특히 3월 셋째 주부터는 연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정유사들이 제품을 만들어 팔수록 손해라는 뜻이다.
정제마진 악화 속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글로벌 수요 급감, 산유국들의 유가전쟁으로 인한 유가폭락 등 악재란 악재는 모두 겹쳤다. 지난 10일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아우르는 'OPEC+'가 하루 1천만 배럴의 감산을 추진했지만, 최종 타결에 이르지는 못했다.
1천만 배럴은 글로벌 산유량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나 업계는 1천만 배럴의 감산이 이뤄진다 해도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보고 있다.
추가적인 유가 하락을 제한하는 효과는 있겠지만 수요절벽이나 정제마진 악화 상황을 반등시키기는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1천만 배럴의 감산 폭은 3천만 배럴로 추정되는 수요감소폭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요 자체가 워낙 위축돼 있어 감산합의로 유가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유가가 오른다 해도 현재는 코로나 영향으로 수요 절벽이 심각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더욱이 코로나19 회복국면에 들어선 중국의 정유사들이 공장 가동률을 올리고 있어, 시장에 공급이 증가하며 정제마진이 약세를 이어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중국 정부는 유가가 급락해도 자국 석유제품 판매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에 코로나19로 타격을 봤던 중국 정유사들의 수익성은 개선세다.
교보증권 김정현 연구원은 "코로나 사태가 완화해 석유제품 수요가 회복되더라도 중국발(發) 만성적인 공급 과잉이 예고돼 있다"며 당분간 한국 정유업종에 대해 보수적인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
사상 초유의 위기를 겪고 있는 정유사들은 일제히 '비상 경영' 모드에 돌입했다.
SK이노베이션과 현대오일뱅크는 공장 가동률을 85∼90% 수준으로 낮췄고 추가 하향도 검토 중이다.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는 통상 하반기에 진행하는 정기보수를 앞당겼으며, 에쓰오일은 희망퇴직을 추진 중이다.
정유업계는 또한 정부에 세제완화 등 각종 정책 지원을 해달라고 건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4∼6월분 석유 수입·판매 부과금 징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수요 부족으로 남는 석유를 저장할 공간으로 한국석유공사의 비축시설을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업계는 이외에 ▲ 석유류 개별소비세 조건부 면세 ▲ 환경·안전시설 투자세액공제율 확대 ▲ 임시투자세액제도 부활 등 추가적인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유업계가 1∼2분기 '보릿고개'를 지나 하반기부터는 정제마진과 유가가 회복하고 코로나19도 진정하며 실적이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코로나19로 마비된 수요 추이와 중국발 공급과잉 등이 변수로 평가된다. 정유사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정제마진, 수요, 유가가 모두 회복돼야 유의미한 실적 개선이 가능하다"며 "단기적으로는 반등 계기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정유4사 적자 2조5천억원대…불황 장기화에 경영 비상
국내 정유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과 국제유가 폭락, 정제마진 악화 등 삼중고에 시달리며 사상 초유의 실적 쇼크에 직면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 반등할 수 있다는 일부 기대감도 있긴 하지만, 정제마진 악화와 코로나 영향에 따른 '수요절벽'이 워낙 심각해 "출구가 안보인다"는 업계의 우려가 크다.
산유국들의 감산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실적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12일 업계 등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4사의 1분기 영업적자가 2조5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정유업계에서는 셰일가스 패권을 둘러싸고 산유국들 간 '가격전쟁'이 있었던 2014년의 4분기 실적이 최악이라고 평가해왔다.
당시 정유4사 영업손실이 1조1천50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당시 수치를 훨씬 웃도는 사상 최악일 것으로 점쳐진다. 2분기 역시 조 단위 적자를 이어가며 올해 2014년 이후 6년 만에 연간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 상황이다.
정유사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은 나날이 악화하고 있다.
정제마진은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 비용을 뺀 것으로, 통상 배럴당 4∼5달러여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부터 정제마진 수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고 있고,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특히 3월 셋째 주부터는 연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정유사들이 제품을 만들어 팔수록 손해라는 뜻이다.
정제마진 악화 속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글로벌 수요 급감, 산유국들의 유가전쟁으로 인한 유가폭락 등 악재란 악재는 모두 겹쳤다. 지난 10일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아우르는 'OPEC+'가 하루 1천만 배럴의 감산을 추진했지만, 최종 타결에 이르지는 못했다.
1천만 배럴은 글로벌 산유량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그러나 업계는 1천만 배럴의 감산이 이뤄진다 해도 실질적 영향이 없다고 보고 있다.
추가적인 유가 하락을 제한하는 효과는 있겠지만 수요절벽이나 정제마진 악화 상황을 반등시키기는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1천만 배럴의 감산 폭은 3천만 배럴로 추정되는 수요감소폭에 비해 여전히 부족하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요 자체가 워낙 위축돼 있어 감산합의로 유가반등은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유가가 오른다 해도 현재는 코로나 영향으로 수요 절벽이 심각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더욱이 코로나19 회복국면에 들어선 중국의 정유사들이 공장 가동률을 올리고 있어, 시장에 공급이 증가하며 정제마진이 약세를 이어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중국 정부는 유가가 급락해도 자국 석유제품 판매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에 코로나19로 타격을 봤던 중국 정유사들의 수익성은 개선세다.
교보증권 김정현 연구원은 "코로나 사태가 완화해 석유제품 수요가 회복되더라도 중국발(發) 만성적인 공급 과잉이 예고돼 있다"며 당분간 한국 정유업종에 대해 보수적인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
사상 초유의 위기를 겪고 있는 정유사들은 일제히 '비상 경영' 모드에 돌입했다.
SK이노베이션과 현대오일뱅크는 공장 가동률을 85∼90% 수준으로 낮췄고 추가 하향도 검토 중이다. GS칼텍스와 현대오일뱅크는 통상 하반기에 진행하는 정기보수를 앞당겼으며, 에쓰오일은 희망퇴직을 추진 중이다.
정유업계는 또한 정부에 세제완화 등 각종 정책 지원을 해달라고 건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4∼6월분 석유 수입·판매 부과금 징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수요 부족으로 남는 석유를 저장할 공간으로 한국석유공사의 비축시설을 이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업계는 이외에 ▲ 석유류 개별소비세 조건부 면세 ▲ 환경·안전시설 투자세액공제율 확대 ▲ 임시투자세액제도 부활 등 추가적인 대책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유업계가 1∼2분기 '보릿고개'를 지나 하반기부터는 정제마진과 유가가 회복하고 코로나19도 진정하며 실적이 개선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코로나19로 마비된 수요 추이와 중국발 공급과잉 등이 변수로 평가된다. 정유사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정제마진, 수요, 유가가 모두 회복돼야 유의미한 실적 개선이 가능하다"며 "단기적으로는 반등 계기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