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 받았는데 대회는 없고…스폰서·선수 '가슴앓이'
입력
수정
지면A31
"대놓고 환불 요구도 못하고"“선수들에게 후원금을 정산하자고 대놓고 말할 수도 없고….”
대회 줄연기…홍보효과 전무
내심 선수도 고통분담 했으면…
선수들 "우리도 답답해요"
12일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 선수를 후원하는 한 스폰서 관계자가 전화 너머로 깊은 한숨을 내뱉었다. KLPGA투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시작도 못하고 있어서다. 미디어 노출 등의 홍보 효과는 포기한 지 오래다. 매출 급감 등 후원 기업들의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다는 게 더 큰 문제다. 모두가 ‘한 푼’이 아쉬운 상황. 이 관계자는 “계약에 따라 후원금을 주는 것은 당연하지만, 천재지변인 만큼 선수들도 고통 분담을 해주길 내심 바라고 있다”고 했다.“20여 개 출전 대회 기대했는데…”
기업들이 고심에 빠진 건 계약 조건 때문이다. 후원사는 대개 프로골퍼에게 ‘보장 후원액’을 제시한다. 일종의 ‘기본급’이다. 선수의 잠재력, 이름값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국내 여자프로 골퍼는 일반적으로 연 1억원에서 많게는 10억원 이상까지 올라간다. 몇몇 해외 투어 세계 톱랭커는 연 15억원 이상을 제안받기도 한다. 성적에 연동되는 인센티브는 별도다. 한 매니지먼트 관계자는 “우승의 경우 후원사별로 상이하지만 대개 우승 상금의 50~80%를 받는다. 톱5, 톱10 입상 시에도 별도의 인센티브가 따라온다”며 “승수가 많아지면 인센티브만 ‘수십억원’에 이를 수 있어 인센티브 ‘상한제’를 걸어놓기도 한다”고 했다.이런 기본급의 전제 조건은 ‘최소 20개 이상 대회 출전’이 일반적이다. KLPGA투어가 한 시즌에 30여 개 대회를 연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 시즌의 3분의 2 수준이다. 그래야 후원액에 상응하는 미디어 노출 효과를 얻는다는 게 후원사들의 입장이다. 부상 등으로 선수가 시즌을 통째로 날리는 등 변수에도 대비할 수 있는 일종의 ‘보험’이다. 일반적으로 전체 대회 수의 ‘60~80% 의무 출전’ 선에서 계약이 이뤄진다.
올해처럼 시즌 전체가 파행 운영되면 이 같은 계약은 후원사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6~7월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하면, 열 수 있는 대회는 10~13개에 불과하다. 선수들은 기대치의 절반도 안 되는 대회를 뛰고도 계약금을 모두 챙길 수 있는 것이다. “차라리 시즌이 통째로 열리지 않기를 바란다”는 목소리가 후원사들 사이에서 나오는 배경이다.
선수들 “우리도 답답한 건 마찬가지”선수들도 지금의 상황이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상금을 탈 기회가 사라졌고 인센티브는 더더욱 받지 못한다. 후원사 눈치도 봐야 하고, 자신이 먹여 살려야 하는 캐디, 트레이닝팀도 걱정해야 한다. 또 다른 매니지먼트 관계자는 “평소 인터뷰를 꺼리던 선수들도 최근에 먼저 인터뷰할 곳을 물어보고 있다”며 “(홍보 효과를 원했던) 후원사에 대해 느끼는 미안한 마음을 조금이라도 덜려는 것 같다. 선수들이 유튜브를 열심히 하는 것도 이 같은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했다.
‘톱 클래스’ 선수는 상황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 후원 기업과 계약을 조율할 협상력이 있어서다. 기업들도 톱 클래스 선수들에겐 섣불리 ‘고통 분담’ 이야기를 꺼내기가 어렵다. 행여 관계가 틀어지면 계약 종료 후 선수가 새 후원사로 떠날 수도 있다.
기업의 고통 분담 요구는 중·하위권 선수들에게 자연스레 몰린다. 계약 조건 수정 요구 정도라면 다행이다. 중·하위권 선수들의 신규 후원 및 연장 계약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이후로 아예 자취를 감췄다. 한 후원사 관계자는 “경기가 재개되면 후원사 없이 ‘민모자’를 쓴 많은 1부 투어 선수를 볼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조희찬 기자 etwood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