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전망대] 코로나發 '일자리 참사' 실상 13일 공개된다
입력
수정
지면A33
정인설 경제부 차장

직격탄을 가장 먼저 맞은 자영업뿐 아니라 대기업들까지 생존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직원 월급 줄 돈은 고사하고 만기가 돌아오는 어음과 대출 막기도 버겁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더 큰 위기에 빠지지 않기 위해 직원들을 쉬게 하거나 내보내고 있다.이런 실상이 정부 통계에 제대로 반영된 적은 없다. 실업률 같은 고용통계는 경기 후행지표이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11일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는 국내에 ‘코로나 공포감’이 극에 달하기 전까지의 상황만 담겨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지난달 이후의 일자리 통계는 이번주에 나온다. 그런 점에서 금주는 ‘코로나발(發) 실업’의 실상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사실상 첫주가 될 전망이다. 먼저 고용노동부가 테이프를 끊는다. 13일 발표되는 ‘3월 노동시장 동향’에선 지난달 정부가 실직자에게 지급하는 실업급여(구직급여) 신청자 수와 지급액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월 실업급여 지급액은 역대 최고치인 7819억원이었는데 이 기록이 다시 경신될 가능성이 크다.

고용시장 외에 자금시장 동향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한국은행은 14일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색된 국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1조5000억원어치의 국고채를 매입한다. 금융회사가 보유한 국채를 사들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같은 날 한은과 시중은행 등이 조성한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채권을 처음 매입한다. 한은은 이번주 증권사 등이 보유한 우량 회사채를 담보로 직접 대출해주는 방안을 확정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과 중국의 실물 지표에도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14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과 3월 수출입 수치를 발표한다. 미국은 3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 통계를 16일 내놓는다.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