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코로나 항체 치료제 개발, 세계에서 제일 빨라"
입력
수정
지면A4
코로나 무력화 항체 38개 확보
최대 바이오회사 제넨텍 앞서
7월께 사람 대상 임상 돌입
셀트리온은 최초 확보한 1차 항체 후보군 300개 중 항원 결합력이 양호한 106개 항체를 1차 선별했다. 이어 중화능력을 두 차례 확인해 이들 항체 중 38개를 항체 후보군으로 선정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된 38개 항체 중 14개는 중화능력이 특히 강력했다”며 “이들 14개 항체 위주로 세포주를 개발하겠다”고 했다.
업계에선 항체 치료제 가운데서는 셀트리온의 개발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보고 있다. 셀트리온이 개발과 생산 능력을 모두 갖춘 데다 임상 이전의 모든 단계를 사실상 마무리했기 때문이다. 해외에선 제넨텍, 일라이릴리 등이 코로나19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2월 코로나19에서 회복한 환자에게서 혈액 샘플을 수집한 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했다. 지난달엔 항체 후보들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한 뒤 치료용 항체 후보를 선별하는 작업을 마쳤다.셀트리온은 오는 7월께 사람 대상 임상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 치료제 개발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임상에 쓰일 치료제 생산과 동물임상을 동시에 하는 ‘투트랙’ 체제를 가동한다. 당장 다음달부터 셀트리온은 세포주를 개발, 사람 임상에 쓰일 치료제 생산에 들어간다. 동물 임상은 협업 체계를 구축해 질병관리본부가 맡는다.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효능 시험을 하고 영장류를 대상으로 독성 시험을 한다.
셀트리온은 전사적 차원에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매달리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개발이 진척될 때마다 치료제 개발에 투입되는 인력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치료제를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성순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정부와 민간 등 각 기관이 잘할 수 있는 연구 기술 및 자원을 최대한 발휘해 협업 효과를 드러낸 결과”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이 항체 치료제와 함께 개발 중인 코로나19 진단키트는 이달에 시제품이 나올 예정이다. 다음달까지 임상을 완료한 뒤 유럽, 한국, 미국 등에 제품 인증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