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4·15] '대안세력' 인정 못받은 통합당…'심판론'·'견제론' 안먹혔다(종합)
입력
수정
탄핵 찬반 놓고 보수진영 지난한 책임 공방에 통합 과정도 매끄럽지 못해
정권심판론·폭주견제론 통하지 않아…코로나19도 '악재'로 작용 분석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이 15일 지상파 방송3사의 제21대 총선 출구조사 결과 예측 보도와 오후 10시 현재 개표 상황을 종합하면 비례 위성정당 미래한국당과 합해도 과반에 훨씬 못 미치는 의석수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됐다. 오후 10시 현재 개표 상황에 따르면 지역구에선 더불어민주당 151석, 통합당 95석이 예상된다.
특히 당의 간판인 황교안 대표가 '미니대선'이라 할 종로 선거에서 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에 패할 것이 유력해졌고, 전국 판세의 바로미터인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예측 보도가 최종 결과와 맞아떨어진다면 통합당은 2016년 20대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까지 전국단위 선거에서 '4연패'의 늪에 빠지게 된다. 출구조사 결과와 현재까지 개표 상황에서 드러난 통합당의 '패배' 요인을 보면 우선 이번 선거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내세운 '정권 심판론'과 '폭주 견제론'이 제대로 통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현 정권의 경제 실정과 국민 여론을 무시한 개혁 추진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며 '반(反) 문재인' 여론을 조성하려 노력했지만, 그에 앞서 국민으로부터 대안 세력임을 인정받지 못하면서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당 내부적으로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른 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 때와는 달리 이번 총선에서는 민심의 변화를 기대했지만, 유권자들은 여전히 통합당이 제대로 개혁과 쇄신을 보여주지 못한 데다 건전한 중도·보수로 거듭나지 못했다고 판단한 셈이다. 실제 보수 진영은 지난 3년간 탄핵 찬반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로 뚜렷이 나뉘어 서로에게 손가락질을 해오며 책임 공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총선 직전에야 겨우 '탄핵의 강을 건너자'며 통합을 이뤄냈지만, 그 과정에서 질질 끄는 모양새를 연출하면서 보수 진영이 정부 여당을 대신할 건전한 정치 세력으로 거듭났다는 확신을 여전히 유권자들에게 심어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가 선거운동 막판에 "더 변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이미 떠난 표심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통합당에는 호재로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지역사회 감염이 급속도로 번질 때까지만 해도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를 지적하며 심판론에 불을 댕겼다.
하지만 국내 확진자 폭증 추세가 잦아든 반면 미국·유럽 등 세계 주요 국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우리 정부가 비교적 잘 대응했다고 판단하는 여론이 높아졌고 민주당의 '국난극복' 구호에 맞선 통합당의 정권심판론에도 힘이 빠지게 됐다.
오히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놓고 정부·여당과 경쟁적으로 '퍼주기'에 열을 올리면서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이라는 보수 진영의 지원 논리마저 깨뜨린 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했다. 매끄럽지 못했던 공천 과정도 패인의 하나로 지목된다.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의 '사천 논란'에 황교안 대표의 개입 논란 등 '공천 파동' 비판까지 감수해야 했다.
이러다 보니 상대 후보와 맞서야 할 일부 지역구 예비후보들은 '내부 총질'을 하면서 스스로 전력을 깎아내리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도 크다.
특히 총선 공식 선거운동 막판에 잇따라 터진 '막말', '실언' 등은 참패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 대표의 'n번방 호기심 발언'부터 '특정 세대 비하 발언'(관악갑 김대호), '세월호 텐트 막말'(부천병 차명진)이 연이어 터지자, 총선 승패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수도권에서 각종 외부 여론조사는 물론 당 내부 분석에서도 좁혀지던 열세 판도를 오히려 벌어지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 결국 지난해 9월 '조국 사태' 이후 여권에 등을 돌린 진보 이탈층과 중도층, 무당층 사이의 기대에 발맞추지 못하면서 결국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들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정권심판론·폭주견제론 통하지 않아…코로나19도 '악재'로 작용 분석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이 15일 지상파 방송3사의 제21대 총선 출구조사 결과 예측 보도와 오후 10시 현재 개표 상황을 종합하면 비례 위성정당 미래한국당과 합해도 과반에 훨씬 못 미치는 의석수를 확보할 것으로 전망됐다. 오후 10시 현재 개표 상황에 따르면 지역구에선 더불어민주당 151석, 통합당 95석이 예상된다.
특히 당의 간판인 황교안 대표가 '미니대선'이라 할 종로 선거에서 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에 패할 것이 유력해졌고, 전국 판세의 바로미터인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예측 보도가 최종 결과와 맞아떨어진다면 통합당은 2016년 20대 총선,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이번까지 전국단위 선거에서 '4연패'의 늪에 빠지게 된다. 출구조사 결과와 현재까지 개표 상황에서 드러난 통합당의 '패배' 요인을 보면 우선 이번 선거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내세운 '정권 심판론'과 '폭주 견제론'이 제대로 통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현 정권의 경제 실정과 국민 여론을 무시한 개혁 추진 등을 집중적으로 부각하며 '반(反) 문재인' 여론을 조성하려 노력했지만, 그에 앞서 국민으로부터 대안 세력임을 인정받지 못하면서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당 내부적으로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른 2017년 대선과 2018년 지방선거 때와는 달리 이번 총선에서는 민심의 변화를 기대했지만, 유권자들은 여전히 통합당이 제대로 개혁과 쇄신을 보여주지 못한 데다 건전한 중도·보수로 거듭나지 못했다고 판단한 셈이다. 실제 보수 진영은 지난 3년간 탄핵 찬반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로 뚜렷이 나뉘어 서로에게 손가락질을 해오며 책임 공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총선 직전에야 겨우 '탄핵의 강을 건너자'며 통합을 이뤄냈지만, 그 과정에서 질질 끄는 모양새를 연출하면서 보수 진영이 정부 여당을 대신할 건전한 정치 세력으로 거듭났다는 확신을 여전히 유권자들에게 심어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가 선거운동 막판에 "더 변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이미 떠난 표심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통합당에는 호재로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지역사회 감염이 급속도로 번질 때까지만 해도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를 지적하며 심판론에 불을 댕겼다.
하지만 국내 확진자 폭증 추세가 잦아든 반면 미국·유럽 등 세계 주요 국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우리 정부가 비교적 잘 대응했다고 판단하는 여론이 높아졌고 민주당의 '국난극복' 구호에 맞선 통합당의 정권심판론에도 힘이 빠지게 됐다.
오히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놓고 정부·여당과 경쟁적으로 '퍼주기'에 열을 올리면서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이라는 보수 진영의 지원 논리마저 깨뜨린 게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했다. 매끄럽지 못했던 공천 과정도 패인의 하나로 지목된다.
김형오 공천관리위원장의 '사천 논란'에 황교안 대표의 개입 논란 등 '공천 파동' 비판까지 감수해야 했다.
이러다 보니 상대 후보와 맞서야 할 일부 지역구 예비후보들은 '내부 총질'을 하면서 스스로 전력을 깎아내리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도 크다.
특히 총선 공식 선거운동 막판에 잇따라 터진 '막말', '실언' 등은 참패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 대표의 'n번방 호기심 발언'부터 '특정 세대 비하 발언'(관악갑 김대호), '세월호 텐트 막말'(부천병 차명진)이 연이어 터지자, 총선 승패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수도권에서 각종 외부 여론조사는 물론 당 내부 분석에서도 좁혀지던 열세 판도를 오히려 벌어지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 결국 지난해 9월 '조국 사태' 이후 여권에 등을 돌린 진보 이탈층과 중도층, 무당층 사이의 기대에 발맞추지 못하면서 결국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들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