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거란 공격에 한 달 못 버틴 발해…復國운동 200년간 이어져
입력
수정
지면A22
(29) 발해의 멸망과 復國 활동한 나라의 멸망은 하루아침에 발생하는 사건이 아니다. 오랜 기간 많은 신호를 보내지만 깨닫지 못한 채 당할 뿐이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6·25전쟁 등이 그랬다. ‘발해국’의 멸망을 화산 폭발 탓으로 돌리려는 사고는 수백 년 쌓인 관습적 오류일 따름이다.
취약점 많았던 발해
전격적인 거란의 공격
끊이지 않은 復國운동
요나라의 황제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는 “발해국은 대대로 원수인데, 아직 보복을 완수하지 못했다”며 925년 윤 12월, 푸른 소(靑牛)와 흰 말(白馬)을 죽여 천지(天地)에 제사를 지냈다. 예상을 깬 겨울작전을 펼쳐 부여성(지린성 농안)을 3일 만에 함락했다. 발해의 노상(老相)이 3만 명의 군대로 저항했으나 패했고, 요군은 수도인 홀한성(상경성, 헤이룽장성 닝안현)을 포위한 끝에 큰 전투 없이 4일 만에 항복을 받아냈다. 임금은 소복을 입고 새끼줄로 몸을 묶은 채 신하들과 함께 엎드려 빌었다. 228년의 역사는 허무하게 끝났다. 임금인 대인선과 왕비는 요나라에서 ‘오로고(烏魯古)’ ‘아리지(阿里只)’로 불렸는데, 끌려갈 때 탔던 말의 이름이다.발해는 신비한 나라다. 건국도 극적이었지만 붕괴도 전격적이었고, 멸망 원인과 시기도 불명확하다. 또 ‘발해’와 ‘발해인’이란 이름으로 오랫동안 동아시아의 역사에 등장했다.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렸으며, 승병(勝兵)이 수만 명이고, 사방 5000리에 달한 영토에 뛰어난 인재들이 많았다는 평가를 받는 발해는 왜 채 한 달도 못 버티고 멸망했을까? 역사가 후손에게 줄 유산은 ‘자랑’이 아니라 ‘교훈’이며, 남 탓이 아니라 제 탓을 하는 자세다.한 달도 못 버틴 228년의 역사
21세기와 마찬가지로 국제관계는 국가 흥망성쇠의 중요한 요소다. 10세기 들어와 동북아시아는 국가 간 질서재편으로 소용돌이쳤다. 당나라가 907년에 붕괴되면서 오대십국(五代十國)이라는 대분열 시대가 시작됐고, 910년대에는 9개국이 난립한 상태였다. 토번(티베트)은 서남 지역의 영토를 대거 잠식했고, 몽골 초원에서는 세계사를 바꿀 ‘몽올’ 부족이 성장했으며, 840년에 멸망한 위구르 한(칸)국의 망명인들 또한 혼란을 일으켰다. 일본은 발해와 시종일관 우호관계를 유지했지만, 섬나라라는 위치와 능력 부족으로 인해 주변부적 존재에 머물렀을 뿐이었다. 한편 남쪽에서는 신라가 1000년의 역사를 마감하는 중이었고, 신흥세력인 후백제와 고려가 긴박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이런 대분열 시대는 모든 국가와 인물들에게 양날의 칼로 작용한다. 위기이며 성공의 기회이기도 하다. 국제질서의 변화를 간파한 야율아보기는 동몽골의 초원지대와 요서에서 거란족을 통일(916년)하고, 서남쪽으로 토욕혼 등을 공격한 후에 몽골 지역까지 영토를 넓혔다.(이효형, 《발해유민사 연구》) 하지만 중국 세력, 북쪽의 실위·돌궐 등 세력과는 갈등구조였고, 발해의 동족국가인 고려 존재도 불안했다. 그런데 요동지역은 팽창에 적합하고, 철·곡식·소금 등이 풍부한 경제지대였다. 그는 918년에 요양을 점령했고, 이어 요양성에 발해 포로를 배치했다. 발해는 즉시 반격을 가해서 백성을 구출했고, 918년에는 사신을 파견하는 등 외교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요동 쟁탈전은 계속돼 924년에도 요의 공격을 두 차례나 받았으며, 결국 전면공격을 받고 멸망했다.
넓은 영토와 다양한 종족, 관리 어려워발해는 내부에 근본적인 취약점이 있었다. 넓은 영토에 자연환경이 거칠고 종족들도 다양하므로 관리체제가 느슨했다. 유사시에는 분열현상이 표출됐는데, 흑수말갈이 독자적으로 행동한 것은 이를 방증한다. 또 임금의 잦은 교체로 정치에 혼란이 생겼고, 잦은 천도(5회·수도 이전)로 재정이 악화됐으며 지역감정은 커졌다. 멸망 전인 925년에 장군인 신덕과 부하 500명을 비롯한 예부경 등 고위관료들이 100호의 백성과 함께 고려로 투항했다. 심각한 권력 쟁탈전이 일어났고, 백성은 마음이 떠난 채로(因彼離心, 《요사》) 나라의 위기를 방관했음을 알려준다. ‘백두산 화산 폭발설’도 멸망 원인으로 제기된다. 1995년에 일본 학자 마쓰다 히로시가 주장해 관심을 끌었는데, 백두산은 발해가 멸망한 후인 937년 무렵에 폭발했다. 하지만 잦은 예비 화산활동이 민심을 혼란스럽게 했을 가능성은 있다.
그렇다면 위기에 직면한 발해는 어떤 자구책을 강구했을까? 신흥국인 후량과 후당에 몇 번이나 왕자를 파견했다. 신라 등(‘新羅諸國’)에 구원을 요청하는(《거란국지》) 등 타국과 우호관계를 모색했고,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자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으려고 했다. 왕건의 선조인 호경(虎景)은 백두산에서 내려온 사냥꾼으로서, 성골(聖骨) 장군으로 불렸는데, 이는 발해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왕건은 발해 유민을 환대했는데, 거란을 견제하려는 정치적인 목적도 있었다. 방문한 호승(胡僧)을 통해 후진(後晉)의 고조에게 “발해는 우리와 혼인했습니다(渤海我婚姻也)”라고 했다.(《자치통감》)백두산 화산 폭발은 발해 멸망 후그런데 의문이 든다. 야율아보기는 발해의 항복을 받은 직후에 괴뢰국인 ‘동란국(東丹國)’을 세웠다. 유민들의 저항을 무마할 목적이었다. 실제로 즉시 압록주에서 유격기병 7000명이 홀한성을 돕기 위해 왔으나 패배했고, 연해주 일대와 함경도 일대에서 복국(復國)전쟁이 벌어질 정도로 국력이 남아있었다. 그럼 유민은 어떻게 됐을까? 첫째, 임금을 비롯한 왕족과 귀족 등 지식인은 항복해서 적의 체제 속에 유리한 조건으로 흡수됐다. 둘째, 승전국에 포로로 끌려가 노예나 변방의 군인으로 살다 죽었다. 979년에 발해 수령인 대난하는 송나라로 귀순했다. 셋째, 현지에 남은 대부분 주민은 신질서에 순응하면서 말갈인이 됐다. 넷째, 일부 기개가 넘치고 자유로운 성격의 소유자들은 독립군처럼 저항하다 희생당하고 일부는 나라를 세웠다.
929년에 대연림은 후발해국을 세워 화북의 나라들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938년에 정안국이 압록강 하류에서 건국됐는데, 길림성 남부지역과 함경도 일대까지 차지했다는 주장도 있다. 임금인 오현명은 송나라에 “본래 고구려 옛터에 발해의 남은 백성들을 거느려 사방을 지킨 지 여러 해 됐습니다”라는 국서를 보냈다. 말을 수출해서 ‘발해의 병마와 토지가 해(거란의 일족)의 족장보다도 강성합니다’(《宋史》)라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985년에 멸망하면서 10만 명이 포로로 끌려갔다. 995년에 올야국(兀惹國)이 건국됐으나 금방 멸망했다. 1029년에 대연림이 흥요국을 세워 여진인들이 따랐으며, 요와 전투를 벌이면서 고려와도 교류했으나 결국 다음해 멸망했다. 1116년에는 고영창이 대원국(대발해)을 세웠다. 발해인은 거의 200년 가까이 복국운동을 한 특이한 사람들이다.
200년 가까이 復國운동 펼친 발해인
다섯째, 탈출해서 남의 나라에서 살다가 끝내는 흡수됐다. 유민들은 고려·요·송·돌궐 심지어는 사신 배구처럼 일본까지 갔다. 《발해고》를 쓴 유득공(柳得恭)은 고려로 넘어온 사람들이 약 10여만 명이라고 했다. 실제로 927년부터 1116년까지 들어온 발해 유민은 12만 명 전후로 본다.(임상선, 《새롭게 본 발해유민사》) 왕건은 이들에게 토지를 주고 작위를 내렸다. 수만 명을 데리고 귀순한 발해 세자 대광현에겐 발해종사(渤海宗祀)를 받들게 했다. 또 거란의 사신단이 942년에 50필의 낙타를 몰고 왔을 때 교류를 거절하면서 사신을 섬으로 귀양보내고 낙타는 굶겨 죽였다. 심지어 후진과 동맹을 맺고 거란 공격을 시도했다.
한 집단과 구성원이 역사의 기로에서 선택한 것을 두고 후대인이 무책임하게 평가하면 곤란하다. 하지만 나라를 빼앗긴 발해의 왕과 귀족, 권력층인 지식인 등에겐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물론 백성들이라고 해서 역사의 책임을 피할 수는 없다. 비록 힘이 미약하더라도 노예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민중 면피론’이란 허구가 사라져야 우리 역사에 미래가 있다.“고려가 끝내 약소국이 된 것은 발해의 땅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득공이 《발해고》라는 책에서 자아가 마비된 조선을 향해서 외친 절규다.
윤명철 < 동국대 명예교수·우즈베키스탄 국립 사마르칸트대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