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K워치] 韓銀 임직원들이 주상영에게 기대하는 것…외풍 차단과 인사적체 해소
입력
수정


한은 임직원들은 주 위원이라면 이런 외부 공격에 대한 ‘방패막이’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하고 있다. 주 위원이 현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에 깊이 관여하면서 여당과 청와대 인사들과 깊은 교감을 나눠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일부 한은 임직원들은 주 위원이 한은의 숙원사업을 공론화하고 해결해 줄 것이란 기대도 하고 있다. 한은 숙원사업 중엔 인사적체 해소가 으뜸으로 꼽힌다.
주 위원은 지난해 더불어민주당의 요청으로 작성한 연구용역보고서에서 한은의 조직과 권한을 개편하는 내용을 담았다. 주 위원은 보고서에서 현재 한 명인 부총재 자리를 두 명으로 늘려 1부총재와 2부총재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위원은 부총재들의 구체적인 역할도 제안했다. 1부총재는 통화를 담당토록 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소속 위원이 되도록 하고, 2부총재는 금융안정 및 거시건전성담당을 맡아 금융당국과 함께 거시건전성을 분석하고 정책 설계까지 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 위원은 이 과정에서 금융안정을 담당하는 부서인 한은 금융안정국에 권한도 함께 강화해 금융위원회와 함께 거시건전성 정책 설계를 주도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았다.이런 것들은 모두 한은법을 손질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한은 임직원들은 주 위원이 권력 실세인 점을 고려하면 이런 내용을 담은 한은법 개정안을 공론화한 뒤 여당과 함께 충분히 국회 통과까지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 위원 제안대로 부총재 자리가 신설되면 한은은 국장급에서 부총재보급에서 특히 심한 인사적체를 상당부분 해소하고 원활한 인사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한은 임직원들은 예상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현재 한 명의 부총재가 처리하는 업무가 너무 많다”며 “부총재 한자리를 더 신설하면 관련 업무의 전문성과 신속성이 올라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