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 스마트폰 AP 1위…태블릿 AP 1위는 애플
입력
수정
지난해 글로벌 태블릿향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시장에서 애플이 1위를 차지했다. 스마트폰 시장 승자는 퀄컴이었다. AP는 전자기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반도체다.
21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애플은 글로벌 태블릿 AP 시장에서 44%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애플 아이패드는 자체 AP만 탑재한다. 지난해 애플은 5세대 7.9인치 '아이패드 미니'를 포함한 3개 아이패드를 출시했다. 애플의 A12, A10 바이오닉칩이 장착됐다.
퀄컴과 인텔은 점유율 16%로 공동2위를 기록했다. 미디어텍, 삼성LSI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두 기업은 기타(24%)로 분류돼 정확한 점유율이 공개되진 않았다.
전체 시장 매출 규모는 2조3400억원(19억달러)가량으로 전년 대비 약 2% 성장했다. 다만 SA는 "태블릿PC용 AP 평균 판매가격(ASP)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태블릿PC 출하량이 감소하는 상황은 AP 공급사들에게 도전이 될 것”이라고 했다.반면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 AP 시장은 전년 대비 3% 가량 감소한 약 24조1600억원(196억달러) 규모로 집계됐다.
SA에 따르면 스마트폰 AP 시장에서 매출 기준 퀄컴은 36%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애플(24%)과 하이실리콘(14%)이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다.
그 뒤를 삼성전자와 미디어텍이 차지했다. 역시 기타(26%)로 분류돼 명확한 점유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SA가 "애플 하이실리콘 삼성전자가 함께 2019년 매출 점유율 절반을 차지했다"고 한 만큼, 삼성전자는 점유율 12% 내외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SA는 올해 5G(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AP에서 1위 퀄컴의 점유율이 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퀄컴은 지난해 5G AP 시장에서 스냅드래곤 계열 모델에 힘입어 5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SA는 "스마트폰과 AP를 자체 생산하는 애플, 하이실리콘(화웨이 자회사), 삼성전자 등의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절반 수준이며 점유율이 늘고 있다"면서 퀄컴과 같이 AP만 생산하는 기업에게 애플·삼성 등이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21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애플은 글로벌 태블릿 AP 시장에서 44%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애플 아이패드는 자체 AP만 탑재한다. 지난해 애플은 5세대 7.9인치 '아이패드 미니'를 포함한 3개 아이패드를 출시했다. 애플의 A12, A10 바이오닉칩이 장착됐다.
퀄컴과 인텔은 점유율 16%로 공동2위를 기록했다. 미디어텍, 삼성LSI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두 기업은 기타(24%)로 분류돼 정확한 점유율이 공개되진 않았다.
전체 시장 매출 규모는 2조3400억원(19억달러)가량으로 전년 대비 약 2% 성장했다. 다만 SA는 "태블릿PC용 AP 평균 판매가격(ASP)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태블릿PC 출하량이 감소하는 상황은 AP 공급사들에게 도전이 될 것”이라고 했다.반면 지난해 글로벌 스마트폰 AP 시장은 전년 대비 3% 가량 감소한 약 24조1600억원(196억달러) 규모로 집계됐다.
SA에 따르면 스마트폰 AP 시장에서 매출 기준 퀄컴은 36%의 점유율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애플(24%)과 하이실리콘(14%)이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다.
그 뒤를 삼성전자와 미디어텍이 차지했다. 역시 기타(26%)로 분류돼 명확한 점유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SA가 "애플 하이실리콘 삼성전자가 함께 2019년 매출 점유율 절반을 차지했다"고 한 만큼, 삼성전자는 점유율 12% 내외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SA는 올해 5G(5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AP에서 1위 퀄컴의 점유율이 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퀄컴은 지난해 5G AP 시장에서 스냅드래곤 계열 모델에 힘입어 5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SA는 "스마트폰과 AP를 자체 생산하는 애플, 하이실리콘(화웨이 자회사), 삼성전자 등의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절반 수준이며 점유율이 늘고 있다"면서 퀄컴과 같이 AP만 생산하는 기업에게 애플·삼성 등이 잠재적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