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푸 덜 사고 물티슈 더 샀다

코로나 시대 달라진 소비 패턴

"외모 꾸미기보다 위생에 관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대의 소비자들은 어떤 품목을 구입하고 있을까. 봉쇄 조치와 재택근무 등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화장품, 옷은 덜 구입하는 대신 식품과 청소용품은 더 많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코로나 소비자’가 새롭게 등장했다”며 유니레버와 프록터앤드갬블(P&G) 등 글로벌 소비재 회사의 분석 결과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코로나19 시대 소비자들은 세탁을 자주 할 뿐만 아니라 한 번 입은 옷은 바로 빤다. 손도 수시로 씻는다. 이 같은 행동 변화로 세탁 관련 제품과 청소용품, 종이타월, 물티슈, 손세정제 등의 소비량이 급증했다.많은 기업이 재택근무하면서 출근할 필요가 없어진 사람들은 용모 단장에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도브비누와 립튼티 등 생활가정용품을 판매하는 유니레버의 앨런 조프 최고경영자(CEO)는 “샴푸, 보디워시, 냄새 제거제 같은 생활용품의 주간 평균 소비량이 크게 줄었다”며 “코로나19 시대 소비자의 관심은 외모 꾸미기가 아니라 위생”이라고 말했다.

외출하지 않으니 화장을 안 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화장품업체 로레알은 지난 1분기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가 8% 이상 감소한 것으로 추산했다.

외식 대신 집밥을 먹으면서 수프, 마요네즈, 라면 같은 식료품 등은 인기를 얻고 있다. 두루마리 휴지와 각티슈 등도 잘 팔린다. 킴벌리클라크는 화장지 수요가 폭증하자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생산 시스템을 바꿔 화장지를 더 부드럽고 도톰하게 제조할 계획이다.소비재 회사들의 온라인 매출은 급증하고 있다. 사람들이 봉쇄 조치 등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찾지 않고 온라인 쇼핑으로 대체하고 있어서다. 유니레버는 매출 6%에 불과했던 온라인 판매가 지난 분기에는 36%까지 치솟았다. WSJ는 “새로운 소비 패턴이 코로나19 이후에도 고착화할 수 있을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