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1조짜리 뉴발란스 잡았다…한·중 5년 계약 연장
입력
수정
뉴발란스·뉴발란스키즈 한국·중국 사업권
2025년까지 5년 연장 계약에 성공
"두 브랜드 합쳐 올해 1조원 달성할 것"

현지화가 성공 비결이랜드그룹은 뉴발란스 본사와 2025년까지 국내 및 중국서 뉴발란스, 뉴발란스키즈 판매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자세한 계약 조건은 밝히지 않았다. 회사측 관계자는 “경쟁사가 없었을 정도로 본사와 이랜드간 신뢰가 쌓였다”고 설명했다. 뉴발란스의 국내 및 중국 판매권, 뉴발란스키즈의 국내 판매권만 갖고 있던 이랜드는 이번 계약에서 뉴발란스키즈의 중국 판매권까지 획득했다.
이랜드가 국내서 뉴발란스·뉴발란스키즈 사업을 시작한 건 2008년이다. 당시 뉴발란스는 마라톤을 즐기는 마니아들만 아는 슈즈 브랜드였다. 연매출 규모는 200억원 수준이었다. 이랜드는 국내 판매를 시작한 뒤 유통망을 정비하고 한국인이 선호하는 제품을 선별해 팔았다. 2009년부터는 의류도 직접 제작해 팔기 시작했다. 국내 트렌드는 물론 한국인 체형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직접 제조·판매에 나선 것이다.

뉴발란스키즈도 성장세가 가파르다. 이랜드는 초기 뉴발란스 매장 한켠에서 아동복을 소량 판매했다. 뉴발란스 아동복의 인기가 높아지자 2013년부터 뉴발란스키즈 단독 매장을 NC백화점 송파점에 열었다. 뉴발란스키즈 매출은 2017년 980억원대, 지난해엔 1250억원대로 급증했다. 한 아이만 낳지만 좋은 옷을 입히려는 부모가 늘고, 스포츠·캐주얼 브랜드 옷을 패밀리룩으로 입는 트렌드가 자리잡은 것이 뉴발란스키즈가 성장한 배경으로 꼽힌다. 국내에서 단독매장 108곳을 포함해 총 13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세계적으로 1020세대는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를 즐겨 입는다. 나이키, 아디다스, 휠라, 뉴발란스, 데상트 등이 매출 상위권을 차지하는 글로벌 브랜드들이다. 국내선 나이키, 아디다스, 휠라가 ‘빅3’로 꼽힌다. 이랜드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뉴발란스가 스포츠 브랜드 3위 안에 들기 위해선 중국 시장이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의 성공을 발판으로 중국 시장에서도 뉴발란스와 뉴발란스키즈를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마는 이랜드가 연매출 2000억원대로 키웠던 스포츠 브랜드다. 1990년대부터 이랜드가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판매했는데 당시 100억원대였던 푸마를 2007년엔 2000억원대로 키워냈다. 푸마 본사는 푸마코리아를 설립하고 2008년부터 직접 사업을 했지만 그 직후 매출이 반토막이 나는 등 쓴맛을 봤다. 한국인들의 취향과 유통망의 특징 등 현지 상황을 잘 몰랐다는 것이 패인으로 꼽힌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수입 판매하던 망고는 2012년 직진출 한 뒤 매장을 대부분 철수하는 등 사업부진을 겪었다. 두산이 판매하던 폴로 랄프로렌은 2011년 직진출했지만 매출이 반토막이 났고, 코치 아베크롬비 나인웨스트 등도 직진출했다 실패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