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진로 새 원내대표가 결정"…黨지도부 손뗐다
입력
수정
지면A6
심재철·김재원 결국 두손 들어
후보들 '비대위' 찬반 엇갈려
8일 경선까지 '자중지란' 불가피

심재철 통합당 대표 권한대행은 30일 입장문을 내고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다시 열어 깔끔하게 김종인 비대위 문제를 정리하려 했지만 정우택 전국위원회 의장이 회의를 소집하기 곤란하다고 해 결국 추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의 당의 진로는 새롭게 선출된 원내대표가 결정할 것”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새로운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당선자 총회를 개최하겠다”고 했다. 김재원 통합당 정책위원회 의장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새 원내지도부가 새로운 당선자들과 함께 이 문제를 협의해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당초 심 권한대행과 김 정책위의장은 오는 6일 상임전국위를 열어 문제가 된 비대위원장 임기를 수정하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이 8월 말까지로 규정돼 있는 비대위원장 임기를 고치지 않는 한 자리를 수락하지 않겠다고 해서다.새 지도부가 들어서기 전 김종인 체제 구성을 마무리 지으려 했던 현 통합당 원내지도부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통합당은 지도부 공백상태를 피할 수 없게 됐다. 당의 중심이 없는 상황에서 5월 8일로 예정된 원내대표 선거까지 적어도 8일 동안 당권을 둘러싼 ‘자중지란’이 이어질 수 있다. 또 김종인 체제에 대한 찬반을 두고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인 만큼 원내대표 선거 역시 이런 구도가 될 전망이다. 새로운 원내대표가 당대표인 비대위원장과 관련된 문제를 결정하게 된 상황이 만들어진 만큼, 원내대표 후보자들은 이 문제를 두고 적극적으로 각을 세울 것으로 전망된다. 김종인 체제를 받아들일지 여부는 물론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임기와 권한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두고 찬성파와 반대파가 대립할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새 원내지도부 구성 이후에도 지도체제 문제가 정리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주호영, 정진석 의원, 권영세 당선자 등은 김종인 체제에 긍정적이다. 하지만 조경태 의원이나 김태흠 의원 등 김 전 위원장에 대해 꾸준히 반대를 외쳐온 ‘비토 그룹’ 중 한 명이 새 원내대표로 선출된다면 당내 갈등은 극에 달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들은 박찬종 전 의원, 이주영 국회부의장,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원장 등을 비대위원장으로 거론하고 있다. 김종인 체제를 아예 무산시킬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